-
-
책읽기가 필요하지 않은 인생은 없다 - 삶의 무기가 되는 책읽기의 쓸모
김애리 지음 / 비즈니스북스 / 2021년 3월
평점 :
코로나19 팬데믹이 좀처럼 수그러들 기세를 보이지 않는다. 백신 접종이 활발히 이뤄지지만 아직은 효과를 느끼기엔 시간이 걸릴 듯 싶다. 일부 전문가들은 다시는 코로나19 이전 시대로 돌아갈 수 없을 것이라는 삭막한 전망을 내놓기도 한다. 지금까지의 라이프 스타일, 생활패턴은 새로운 환경 즉, 코로나19 팬데믹을 감안한 ‘비대면(언택트) 일상’을 수용행야 한다는 것이다.
코로나 시대는 독서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될 것이라는 진단이 있다. 누구도 비켜갈 수 없으므로 변화를 받아들이고 유연한 대응이 필요하는 등 어려운 시기에 책읽기가 더욱 중요하다고 것이다. 대면이 일상화된 과거처럼 지혜와 노하우를 공유하는데 제약을 받는다면 책을 통해서 달라진 세상을 바라보고 생존에 필요한 것을 배우고, 읽고, 쓰기를 멈추지 말아야 한다. 이 견해는 <책읽기가 필요하지 않은 인생은 없다>의 저자가 바라보는 독서의 중요성에 대한 부분이다.
이 책은 삶을 포기하고 싶을 정도로 깊은 절망에 빠졌던 저자가 매일 1000권의 책을 읽고 실천에 나서 결국 자신의 인생을 극적으로 역전시켰다. 현재 강연자이자 독서 컨설턴트, 베스트셀러 작가, 교육 콘텐츠 회사 이사로 다양한 도전을 하며 제2의 인생을 살고 있는 저자는 독서를 단순히 읽는데 그치지 않고 실천에 나섰기 때문에 이런 결과를 얻었다고 소회한다. 특히 5년 후 내 직업의 미래, 나와 내 아이들이 살아갈 세상, 어떻게 위기를 극복하고 적응할 것인지를 독서에서 찾으라고 조언한다. 언택트 때문만이 아니라도 학교 교육에 한계가 분명하고, 직장이 미래를 보장해주지 않는다면 나 자신이 스스로 대응에 나서야는데 그 방법으로 책이 가장 확실한 방법이란다. 으로부터 출발해야 하는 거죠. 저는 그 시작을 책과 함께하는 것이 가장 든든하고 확실한 방법이라는 것이다.
특히 저자가 꼽는 확실한 독서 방법은 인생의 결정적인 순간마다 내 삶에 꼭 필요한 질문을 던지고 해답을 찾는 데 도움을 주는 생산적 독서법 ‘동서형 독서’이다. 단지 눈으로 글자를 훑어 읽고 나서 돌아서면 남는 게 없는 ‘좀비형 독서’와 반대되는 개념이란다.
이외에도 내게 맞는 책을 고르는 법, 하루 3줄 또는 15분 틈새 시간으로 시작하는 독서 습관법, 하루 4줄 독서 노트 쓰기와 스스로 커리큘럼을 짜는 독서대학 운영법까지 구체적인 독서 방법을 소개하면서 독자들에게 효율적인 독서 방법은 어떤 것인지 확실하게 이해시켜 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