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Tube에서 ‘코스모스사운드 - 문학의 이해‘ 보기
https://youtu.be/mXLeWb5WnZ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굿나잇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수를 만나 분 보 싸오를 먹으려고(2주째 진유정작가님의 강의를 들은 덕분 쌀국수 열공)가는 길에 공원 어귀 난전에서 비트를 샀다. 순무김치를 담고 싶은데 아직 순무가 나오기 전이므로 비트로 물김치라도 담아볼까 싶어서다. 비트가 든 검정 봉다리를 들고 인근에서 꽤 유명한 포식당으로 가서 분 보 싸오와 짜조를 시키고 **처럼도 한 병.

분 보 싸오는 처음 시켜봤는데, 지난 주 강남역 인근에서 먹은 분짜와 비슷했다. 분짜는 돼지고기를 구워서 가는 쌀국수위에 얹어 나오는 것이고 분 보 싸오는 얇은 쇠고기를 데쳐서 국수위에 얹어 나오는 것이다. 야채가 곁들여 있고 넉넉한 소스가 따로 나와서 찍먹하거나 끼얹어 먹는 것은 같다.

스타일로 보자면 강남역이 더 베트남스럽고(베트남 가본 적 없음) 저렴한데, 동네는 동네대로 깔끔 양 많아서 괜찮았다. 하나 시켜서 둘이 먹고 국물 있는 국수를 하나 더 시켜야지 했는데 배불러서 그냥 나왔다.

오늘 진유정작가님 강의 듣고 넘 감동받아서(국수사진을 스무장은 본 것 같다) 동네 쌀국수라도 한 그릇 하실라예? 하려고 강의실 밖에서 기다렸는데 정말 순식간에 어디론가 사라지셨다. 아쉬움이 남아 도서관 앞에서도 한참 기다려봤는데 증발하심. 멀리서 오셨다고 했는데 혼자 쓸쓸히 주린 배를 안고 전철역으로 가셨을까봐 마음이 쓰였다. 물론 약속이 있어서 바쁘게 걸음을 재촉하셨거나 처음 보는 사람이 점심 먹자고 했어도 불편해서 거절하셨을 수도 있지만 말이라도 못 건네 본 게 영 한스럽다.

언제 어디서 진유정작가님을 또 만나게 되는 날이 오면 그 때는 꼭 쌀국수 한 그릇을 같이 하고 싶다. 또 어찌아나. 인연이 닿으면 하노이 구시가지 36거리에서 같이 국수그릇을 들이키고 있을지도!

씬짜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에디터D 2017-09-13 13:31   좋아요 1 | URL
진유정 작가님의 <나는 그곳에 국수를 두고 왔네>, 쌀국수 모두 좋아하는데 좋은 강연을 놓쳤네요. 아마 저도 강연을 들었더라면 분명 작가님과, 그리고 쑥님과도 점심하고 싶었을 것 같아요.ㅎ
 

 당신은 진지합니까-나쓰메 소세키의 자취를 따라서

산시로 연못~ 히가시 닛포리~와세다미나미초~조시가야 묘원

 

2008년에 출판한 <고민하는 힘>이 기쁘게도 많은 사람들에게 읽힌 것 같습니다. 현재 일본에서는 해마다 3만 명이 넘는 자살자가 나오고 있고, 우울증에 걸리는 사람도 늘고 있습니다. 바로 '1억 총 고민'의 시대입니다.

이 책은 이런 현대사회를 어떻게 극복해야 할까, 그것을 20세기 최고의 사회학자 막스 베버와 메이지시대의 문호 나쓰메 소세키라는 동시대를 살았던 두 지식인을 통해 생각해 본 것입니다.

 

나쓰메 소세키는 제가 고등학생이었을 무렵부터 애독해 온 작가 가운데 한 사람입니다.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구마모토에서 상경했을 때는 소설 <산시로>의 주인공에게 제 모습을 투영해 보곤 했습니다.

 

소세키나 베버가 살았던 것은 지금으로부터 약 100년전인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입니다. 당시의 세계는 '제국주의'시대였습니다. 유럽 국가들이 앞 다투어 다른 나라로 진출하고 일본도 중국으로 패권을 확대해 나갔습니다. 하지만 강한 것은 좋은 것이라며 애국심을 선동해 국가는 팽창하는 한편, 인간은 잘게 잘려 나갔습니다. 소세키는 그것을 무척 우려했습니다. 그러므로 국가 또는 정치라는 대서사를 그리지 않고, 작은 이야기에 숨어 있는 인간의 본질을 그려 나갔던 것입니다. 72

 

소설 <마음>에는 '선생님'이 주인공 '나'에게 "당신은 진지합니까?"하고 몇 번이고 묻는 장면이 나옵니다. 일찍이 친구를 배신하고 그 죄책감에 고뇌하는 '선생님'입니다만, '나'나 '시대'와 진지하게 맞서려고 합니다. 중요한 것은 그 진지함이고, 진지하게 타자와 대면하는 일입니다. 그렇게 함으로써 사람은 고민을 안고 살아갈 수 있게 ㅗ디는 것입니다.

'진지함'이라고 하면 어딘지 멋쩍인 울림이 있습니다만, 여러분은 이제 진지하게 다른 사람과 마주하고 고민했으면 합니다. 그리고 자신에게 가치 있는 인생을 찾았으면 좋겠습니다. 76

 

고민하는 힘

강상중과 함께 읽는 나쓰메 소세키

나를 지키며 일하는 법

 

 

 

 

 

 

 

 

 

 

 

 

 

 

강상중 강연회

교보문고 365인생학교

일시:9월 30일 (토)

장소: 광화문 교보빌딩 23층 컨벤션홀

모집인원:300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선생님은 한참 생각에 잠겼다가 말했다. "혼자서 있을 수 있는 자유는 정말 중요하지. 아이들에게도 똑같아. 책을 읽고 있는 동안은 평소에 속한 사회나 가족과 떨어져서 책의 세계에 들어가지. 그러니까 책을 읽는 것은 고독하면서 고독하지 않은 거야.

아이가 그것을 발견한다면 살아가는 데 하나의 의지처가 되겠지. 독서라는 것은, 아니 도서관이라는 것은 교회와 비슷한 곳이 아닐까? 혼자 가서 그대로 받아들여지는 장소라고 생각한다면 말이야."

181

 

 

"피에로 델라프란체스카는 수학자이기도 하고 건축가이기도 했어요. 건축가는 이 사람처럼 냉철하지 않으면 안돼요. 돌과 나무를 삼차원으로 조립할 때 정서나 감상으로 임하면 무슨 소용이 있겠어요. 일본인은 냉철함에 익숙하지 않은 국민이라서 그탓에 오히려 깊은 상처를 입은 겁니다. 좀더 빨리 끝낼 수 있었던 전쟁을 그렇게까지 본토가 공습을 당하고도 계속한 것은 냉철함을 멀리했기때문에 저지른 실책입니다." 노미야 하루에는 그런 이야기를 거침없이, 잘 알아들을 수 있게 천천히 말했다. 24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