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켄슈타인 하면 떠오르는 이미지가 있다. 만화의 한 컷인데, 알프스를 배경으로 프랑켄슈타인이 서 있는 모습이다. 물론 내가 프랑켄슈타인이라고 알고 있었던 것은 정확히는 <프랑켄슈타인> 속의 괴물, 피조물이었다. 어린 시절 집에서 보던 잡지 속에 <프랑켄슈타인>이 만화로 몇 달간 연재 된 적이 있었는데 어찌나 두근두근하며 읽었는지 그 때의 만화 컷이 여지껏 선명히 각인 되어 있다. 아마 마르고 닳도록 봤던 것 같다. 그리고 알프스를 배경으로 서 있는 모습이 각인 된 것은 어린 마음에도 괴물의 고독감이 절절이 와 닿았던 것 같다. 이번에 새로이 읽으며 보니 내가 프랑켄슈타인이라고 알고 있었던 것은 '이름이 없는 괴물'이었고, 프랑켄슈타인은 빅터 프랑켄슈타인, 괴물을 만든 과학자의 이름이었다. 그리고 알프스 산의 이름은 몽탕베르. 프랑켄슈타인이 살던 곳은 스위스 제네바. 런던 태생인 작가 메리 셀리가 남편인 퍼시 셀리와 여행을 간 곳이 스위스.  그 곳에서 시인 바이런과 이웃하며 지내게 되고, 남편과 바이런의 대화에서 갈리아 전기등에 대해 알게 되고, 이야기의 모티브를 얻게 된다. 어린 시절 막연히 공상과학만화 같았던 <프랑켄슈타인>의 뒷 이야기들을 알게 되니 왜 그 때 내가 어린 마음에도 풍성한 공간감을 느꼈는지 알아지는 것 같은 기분이 들었다.

 

 

 

 

 

 

 

 

 

 

 

 

 

 

<프랑켄 슈타인>을 다시 읽게 된 계기는 <로쟈의 세계문학 다시 읽기> 때문이었다. <로쟈...>에서는 아이스킬로스의 <결박 된 프로메테우스>와 <잃어버린 대의를 옹호하며>에서 지젝이 본 <프로메테우스>, 허먼 멜밀의 <모비딕>을 겹쳐 읽기 하고 있다.

<로쟈의 세계문학 다시 읽기>는 제목에서 드러난 바와 같이 고전을 다시 해석하는 것에 의의를 둔다.  메리 셀리의 <프랑켄슈타인>도 그런 관점에서 기존의 시각을 뒤집은 견해를 제시하고 있었서 생각할 거리가 있었다. 그리고 지젝이 본 <프랑켄슈타인>의 한계에 대해서도 서너 페이지로 짧게 정리하고 있는데, 청소년들이 쉽게 접해지지 않는 철학자의 견해도 더불어 읽을 수 있어 좋았다. 이 책은 청소년 잡지에 연재되는 글들의 묶음이기에 청소년들이 읽기에 맞춤하고 긴 글이 골치 아픈 중년들이 읽기에도 적합하다. 고전이라는 것이 어찌보면 판에 박힌 교훈을 주는 이야기라는 인식을 하기 쉬운데, 다시 읽고 뒤집어 생각하기 컨셉의 이 책은 그런 반전의 의미에서도 청소년들이 관심을 가지고 읽을만 하다.

 

프랑켄슈타인_포스터.JPG

 

  지난 주에 갑자기 지인이 프랑켄슈타인 보고 왔는데 재밌다길래, 급하게 마지막 타임 NT live <프랑켄슈타인>을 보고 왔다.  NT live 란 영국 국립극장에서 제작한 연극들을 자체적으로 촬영해서 스크린으로 상영하는 것이다. 어쩌다 보니 정본은 읽지 못한 채, 요약본과 희곡으로 각색된 것만 보게 된 셈이다. 지금 생각해보니, 내가 본 만화도 1931년에 만들어진 영화를 토대로 그려진 것 같다. 괴물의 이미지와 화면의 컷이 영화의 장면과 흡사하다

 

 영국 국립극장에서 공연한 연극은 베네딕트 컴버배치와 조니 리 밀러가 프랑켄슈타인과 피조물을 번갈아 연기했다. 그리고 그들은  2012년 런던 올리비에 어워드 최우수 연기상, 이브닝 스탠다드 최우수 연기상을 공동 수상했다. 연극을 영화로 본 셈인데, 수 년 전에 본 영화 <도그빌>이 잠깐 연상되었다. 영국 국립극장은 가보지 못했는데, 화면으로 보는데도 무대가 아주 확 와닿을 만큼 근사했다. 왠지 세익스피어 희곡이 공연되기 좋게 만들어진 듯한 국립극장의 원형무대를 카메라가 위에서 옆에서 찍어서 보여주는 NT live는 경험 해볼 만한 멋진 공연이었다. 사람의 몸이 만들어내는 말, 몸짓의 언어는 말로 하는 것 보다 더한 이야기를 들려준다는 것도 조니 리 밀러의 괴물 연기를 보면서 깨달았다. 미리 알았으면 두 배우의 두 가지 버전을 다 봤으면 좋겠다는 아쉬움이 남았다. 나로서는 조니 리 밀러의 괴물 연기가 퍼펙트하다는 생각이 들었는데, 베네딕트 컴버배치의 연기 또한 이에 뒤떨어지지 않았으리란 짐작 때문이다.

 

 <프랑켄 슈타인>은 1818년에 출간 된 소설이고, 1931년에 영화로 만들어졌으며, 그 영화는 만화가 되어 어린 시절 내 유년의 기억 속에 들어왔고, 그리고 오늘 날 다시 '이야기'와 '몸짓'으로  만났다. 내가 살지 못했던 과거에서 비롯된 이야기가 시대를 흘러 흘러 내 삶 속으로 들어왔고, 그것이 다시 '떠오르게' 된 계기는 <로쟈의 세계문학 다시 읽기>이다. 그래서 책 한 권은 '나'를 돌아보게 하고, 나의 과거와 현재를 연결 시켜주는 계기가 되기도 하는 것이다. 이렇게 되돌아보는 과거는 부정하기 어렵기에, 나로서는 좀처럼 가지기 어려운 긍정에너지가 생겨나고, 이 보다 더 한 힐링이 있으랴는 생각이 드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400723&cid=46702&categoryId=46753

 

가시 금작화 찾다가 찾은 이미지인데, 느낌이 참 좋다. 확대해서 보면 더 좋다.

오르세 작품을 방안에서 감상할 수 있는 시대에 살고 있음이 이럴 땐 감사하다.

앙트완 셍트뢰유(Antoine Chintreuil)1814 1873

셰익스피어보다 250년 뒤에 태어난 화가이다.

 

그림을 확대해서 보면, 오른쪽 들판에 소를 모는 농부가 보인다.

길의 저만치 앞쪽엔 주일 미사를 마치고 들길을 산책하는 신부님의 뒷 모습이 보인다.

그리고 그 뒤를 따라가는 두 여인은 순수하게 들길을 산책하는 것인지

신부님의 학식과 미사에 반해 뒷모습이나마 흠모하며 따르는 것인지는모호하다.

오직 그림 속의 주인공들만이 알 일이다.

사과꽃은 이제 막 피기 시작했고, 금작화는 그보다는 좀 더 피었다.

시절은 4월 말쯤 되어 보이는데, 날은 변덕스러워서 해가 있는 와중에 두꺼운 구름이 드리웠다.

숨은 해가 내비치는 빛살이 만들어내는 구름의 양감이 고스란히 잘 표현되었고,

없으면 서운 했을 새들도 반쪽 하늘을 채우고 있다.

프랑스 들판에 봄 기운이 돌면, 금작화가 피기 시작하고, 다투어 사과꽃이

피기 시작함을 알 수 있다. 사과꽃은 하얗게, 금작화는 노랗게 핀다는 현상 그 자체가

화면 가득히 봄기운과 함께 충만하다. 아름다운 그림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겨울이 되면 남쪽 지방의 섬에 동백꽃을 보러 다니긴 했지만, 제주에 동백을 보러 간다는 생각은 하지 못했었다. 제주에 동백나무가 이렇게 많은 줄 알았더라면 해마다 겨울 제주를 찾았을지 모르겠다.

서귀포쪽은 길 가 가로수가 그냥 동백이었고, 집집 마다 동백 한 그루정도 없는 집이 없었다. 특히나 위미 마을과 신흥마을의 오래 된 동백림은 정말 감동이었다. 첫날 묵은 선흘리 숙소 마당의 동백나무는 12월 1월이 절정이었다고 한다. 그런데 신흥2리 초입에 가로수로 심어져 있던 겹동백은 이제 피기 시작하는 참이었다. 동백나무도 다 같은 동백이 아니라 꽃의 모양새나 크기, 수형이 다를 뿐더러 꽃 피는 시기도 달라 좀 더 찾아 보고 싶어졌다. <우리 나무 백 가지>에 나오는 동백 나무에 대한 소개는 동백의 종류에 대한 설명은 없지만 동백 나무에 대한 전반적인 소개가 잘 나와 있어 흥미롭게 읽었다. 그래서 동백 나무의 절정의 시기에 맞춰 제주를 방문한다는 것은 운인 것 같고, 겨울이 시작하고 봄이 오기 전까지 겨우내내 제주는 동백의 고장이라 할 만 하겠다. 특히 이번에 못 가 본 선흘리 동백동산은 제주에서 동백이 가장 뒤늦게 피는 곳이라 하니 3월 초에도 동백꽃을 볼 수 있는 곳이 아닐까 기대해본다.

 

 

 

 

일본에서는 동백나무에 대한 관심이 각별하다. 세계적으로 동백나무의 원예품종은 겹꽃, 홑꽃과 가지가지 색깔과 크기로 만들어 자그마치 600여가지에 달한다고 하는데 이 가운데 상당수가 일본에서 나온 품종이다. 물론 우리가 여기저기 심어 놓은 동백나무 중에서도 많은 수가 일본 것이다. 그러나 이렇게 많은 종류가 있더라도 자생하는 본래 홑겹의 진붉은 동백나무의 단아한 기품은 그 어느 것도 따르지 못할 것이라 생각한다.

동백나무는 동양의 꽃이지만 서양에 소개되어 많은 인기를 모았고 정열의 붉은 색으로 많은 노래와 시와 소설의 소재가 되었다. 대표적으로 뒤마의 소설 <춘희>와 이를 변형하여 오페라로 한 베르디의 <춘희>가 있다. <라 트라비아타>라고 부르는 이 오페라의 주인공 비올레타는 한 달 가운데 25일은 흰 동백을, 5일은 붉은 동백을 들고 사교계에 나오는 창녀였다. 앞에서 말한 바와 같이 일본에서는 동백나무를 두고 춘(*)자를 쓰기 때문에 이 오페라의 제목을 <춘희>라고 불렀다. 즉 춘희는 동백나무 아가씨가 되는데 문제는 우리 나라의 경우 춘(*)자를 쓰면 가죽나무를 이야기할 때가 많으므로 잘못 해석하면 가죽나무 아가씨가 된다는 63

동백나무의 학명은 카멜리아 자포니카(Camellia japonica)이다. 여기서 모든 동백나무를 총칭하는 속명 Camellia는 17세기경 체코슬라바키아의 선교사 Kamell이 세계를 여행하면서 동백을 수집하여 유럽에 소개하였기에 그이 이름을 붙였다고 하며 종소명 japonica는 일본산이라는 뜻이나 우리 나라는 물론 중국에도 자라고 있다. 64

이 동백나무 꽃의 특이한 점은 조매화라는 것이다. 조매화란 수분을 하는 데 있어서 벌과 나비가 아닌 새의 힘을 빌리는 꽃을 말한다. 크고 화려한 꽃이 많은 열대 지방에서는 이러한 조매화를 간혹 볼 수 있지만 우리 나라에서는 아마 동백나무가 유일한 듯하다. 동백나무의 꿀을 먹고 사는 이 새는 이름도 동박새이다. 동백나무에는 꿀이 많긴 하지만 곤충이 활동하기에는 너무 이른 계절에 꽃이 피므로 녹색, 황금색, 흰 색 깃털이 아름다운 작은 동박새가 주로 그 임무를 맡는다. 동박새는 작은 곤충도 잡아 먹지만 동백나무 꽃이 피면 꿀을 따고 열매를 맺으면 이를 먹고 사는 새로 동백나무와는 뗄 수 없는 사이이다. 65

동백나무 종자에서 나는 동백 기름은 아주 유명하다. 늦가을 동백 나무 열매가 벌어지면 마을의 아낙들은 댕댕이덩굴을 엮어 만든 바구니를 끼고 씨를 주우러 간다. 가득 모은 종자를 씻어 말리고 절구에 넣어 껍질을 부수고 키질을 하여 속살만 모은다. 속살만을 더 곱게 빻아서 삼베주머니에 넣어 단단히 묶으면 기름떡이 되고, 이것을 기름판에 올려 놓고 쳇날을 얹고는 한편엔 빗장을 채우고 다른 한편에는 무거운 돌을 올려놓으면 기름틀 밑으로 기름이 졸졸 흘러 나온다. 이렇게 만드는 동백기름은 맑은 노란 색인데 변하지도 않고 굳지도 않고 날아가지도 않는다. 이 동백 기름은 식용으로 쓰는데 맛도 괜찮은 편이고 마르지 않아 아주 정밀한 기계에 칠하면 좋다. 물론 전기가 없던 시절 호롱불을 켜는데 쓰기도 했지만 뭐니 뭐니 해도 동백 기름은 부인네들의 머리 기름으로 이름이 높다. 동백 기름을 머리에 바르면 그 모양새가 단정하고 고울 뿐 아니라 냄새도 나지 않고 마르지도 않으며 더욱이 때도 끼지 않아 머리 단장에는 꼭 필요한 필수품이었다. 66

동백나무 꽃은 약으로도 쓴다. 생약명은 산다화이다. 꽃이 피기 전에 채취하여 불이나 볕에 말려 쓴다. 지혈 작용을 하고 소종에 표과가 있으며 멍든 피를 풀거나 식히는 작용을 하며 피를 토하거나 장염으로 인한 하혈, 월경과다, 산후 출혈이 멎지 않을 때 물에 달이거나 가루로 빻아 쓴다. 그 밖에 화상이나 타박상에는 가루로 빻은 약재를 기름에 개어 상처에 바른다. 66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알맹이 2015-02-14 10:06   좋아요 0 | URL
동백나무. 동박새.. 이런 독특한 나무였구나. 사진에 한 송이 핀 동백 참 예쁘다
 

김영갑갤러리 앞뜰에 수선화가 피기 시작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비수기는 달리 비수기가 아님이다.
바람소리는 왜이리 황량한지.
4인이 쓰는 도미토리룸을 혼자 차지하고 있으려니
청승도 이런 청승이 없다.
서가를 보니 땡기는 책 몇 권이 있긴한데,
손이 가지 않고
챙겨온 자수 거리를 꺼내놓고 봐도
밤이 너무 길 것 같아 동네 마실을 나왔다.
밥 생각도 없고 김치 한 보시기에 소주나 한 잔 할까 하는데
불 켜진 식당이 있어
들어가려다보니 영업시간이 오후 3시까지다.
읭? 오전 3시 아니구? 맙소사.
들어오는 길에 제주시장에 들러
소주랑 안주거리를 좀 챙겼어야 했는데..
도로라고 차들이 안다니니 인도인지 도로인지 모를길을
더듬더듬 걷다보니
모퉁이에 호박죽이란 간판이 보인다
여지가 없어 무조건 문을 열고 들어갔는데
메뉴가 호박죽, 커피다
호박죽요...해놓고 차마 입이 안 떨어지는
한 마디를 보탠다
혹시...소주...있나요?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에르고숨 2015-02-05 21:15   좋아요 0 | URL
아이고, 다행이다, 다행이다. 하는 혼잣말을 불쑥- 제가 들리게 해버렸네요?ㅎㅎ
꿀맛 `한라산 올래` 상상해봅니다, 건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