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을 쓴 일본 작가 혼마 야스코가 한겨레 신문에 독자 투고를 했다. 옮겨보면,   

http://www.hani.co.kr/arti/opinion/readercolumn/440807.html

나의 책 <덕혜옹주>는 1998년 일본에서 출판된 뒤 10년이 지난 2008년에 한국어로 번역되었다.

내가 <덕혜옹주>를 집필하면서 가장 유념했던 점은 이 책이 한국에서도 통용되는 책이어야 한다는 것이었다. 그러려면 한국인의 입장이 되어 일본 열도를 바라보아야 한다고 생각했다. 덕혜옹주의 마음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녀의 입장에서 역사를 바라볼 필요가 있었다. “발로 짓밟는 사람은 짓밟히는 사람의 고통을 모른다”는 속담이 있듯이 쉽지는 않았다. 나는 자료를 찾고 취재하는 과정을 통해 역사적 사실을 객관적으로 파악하면서, 동시에 이덕혜라는 개인의 심정을 파악하려고 하였다. 그러자 한국과 일본을 대립구조로만 보는 단순한 도식으로는 알 수 없었던 복잡한 관계가 조금씩 보이기 시작했다.

나는 덕혜옹주의 삶을 이해하기 위해 그녀의 남편이었던 소 다케유키에 대해서도 정확한 사실을 파악할 필요가 있었다. 그러나 그에 대해 한국에서는 덕혜옹주의 지참금을 노리고 결혼했다는 설이 있을 뿐이었다. 나는 소 다케유키를 잘 알고 있는 사람들을 취재하였다. 그리고 소 다케유키의 내면을 파악하기 위해 그의 저작물, 특히 그가 지은 시를 분석하였다. 고어로 쓴 난해하지만 아름다운 그의 시를 읽고 그의 고뇌를 짐작할 수 있었고, 덕혜옹주를 향한 마음을 해석해낼 수 있었다.

다행스럽게도 이 책은 휼륭한 번역자를 만나 한국어로 번역되었고, 이 책을 읽고 조금씩 공감을 해주는 한국의 독자들이 있어 아주 감사하게 여기고 있었다. 작은 배 하나에 의지해 현해탄을 저어 가 어려움을 헤치고 이제야 겨우 한국의 해안에 무사히 닿게 된 느낌이었다.

최근에는 한국에서 소설 덕혜옹주가 나왔다는 말을 듣고 급히 구해 읽어보았다. 그런데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그 소설은 난해한 소 다케유키의 시를 비롯하여 내 책의 내용을 셀 수도 없을 만큼 많이 무단차용하면서도, 표현을 바꾸는 식으로 저작권법상의 그물망을 피하려 하고 있었다. 타인의 저작을 이용하는 것치고는 상식의 도를 넘어선 것이었다. 이 글을 쓰고 있는 지금도 내 책을 변조하여 한국과 일본의 거리를 넓히는 데 이용하는 소설이 나왔다는 점이 참으로 안타깝다. 

도대체 왼쪽의 책이 어떻기에 이 작가가 흥분하고 있는 것일까. 이 작가의 <덕혜옹주>를 참 인상깊게 읽었던지라 새삼 그 내용이 궁금해진다.  

숙제다. 아무도 하라고 하지 않건만 우리나라 사람이 쓴 이 책을 읽어봐야할 것 같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0-09-26 11:05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0-10-21 18:49   URL
비밀 댓글입니다.
 

내가 근무하는 학교 도서관 이름짓기 공모에서 내가 제안한 이름이 당선되었다.  서연관(書戀館)이라고, "책과 연애하는 도서관"이라는 뜻이라고 했더니 많은 아이들이 표를 던져주었다. 대체로 한글 이름을 많이 쓰는 추세라 응모하면서도 '좀 구태의연'하지 않나 싶었다. 체육관 이름이 '호연관'이라서 살짝 운도 맞춰주었는데 눈치 빠른 사람들이 아는 체를 해주었다. 속도가 중요한 세상에 네글자는 좀 아닌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그래서 이래저래 당선의 영광을 안게 되었다. 근데 상품권은 얼마짜리를 주려나? 책 사야되는데...


최우수 서연관
          글나루터 

우  수   청어람재     현인지우     헤윰나래    논현고을 지혜관       꿈마루터 

장  려   하늘다리      글벗마루      글빛누리      푸른꿈터       글샘터       글빛마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7/22 여행을 시작해서 오늘 새벽에 인천 공항에 도착했다.  

말도 많고 탈도 많은 인도북부 라닥(레) 지역 일대와 스리나가르를 돌아다녔다. 분리 독립을 외치는 카시미르 반정부 시위 때문에 호텔에 억류(?)되는 진기한 경험도 했는데,...눈가에 다크써클이 그려지는 고행 같은 여행이었다. 이런 여행은 이번 한 번으로 족할 것 같다.  

마무리 겸해서 들렀던 홍콩에선, 작년에 갔었던 어느 태국 식당의 주인이 우리를 기억하고 있었다. 낯선 도시에서 나를 기억해주는 누군가가 있다는 건 무척이나 감격스런 일이다. 그나저나 그 태국 식당의 모든 음식은 아무거나 시켜도 맛이 있었다. 인도 여행 끝이라 그런가...

인천공항을 빠져나와서 시내에 접어들 무렵, 딸아이의 한마디. "우리나라는 꼭 인도와 홍콩을 섞어놓은 것 같아."  TV를 켜면 역시 온갖 사고사건이 화면을 장식한다. 유치원 차량 폭발 사고, 시내 버스 폭발 사고...흠...홍콩 보다는 인도에 가깝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아침 일찍 돌아온게로 하루종일 빨래만 해대었다. 그 많던 옷걸이가 모자랄 지경이다. 

정신 차려야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1기 독자서평단 활동 종료 설문

 •  서평단 도서 중 가장 기억에 남았던 책과 그 이유:<맛살라 인디아> 서평단 활동을 하다보니 서평단의 책은 (나 자신에게)크게 두 가지로 분류가 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내가 잘 모르는 분야의 책과 어느 정도 알고 있다고 생각되는 분야의 책. 이 책은 후자에 속한 책이었다. 그래서 읽기도 전에 자신감 먼저 생겼는데 결과적으로는 이런 책이 서평을 하기에는 더 힘들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어설프게 알고 있는 지식은 오히려 선입견이나 편견이 될 수 있으며, 책에 대한 진지함보다는 어설픈 비판이 앞설 수도 있음을 깨닫게 되었다.

•  서평단 도서의 문장들 중 가장 기억에 남는 한 구절: "느긋한 시간 감각은 그 자체가 부의 한 형태다" <타임패러독스>중에서... 


•  서평단 도서 중 내맘대로 좋은 책 베스트 5 :<탐욕의 시대>,<타임 패러독스>,<과학이 광우병을 말하다>,<맛살라 인디아>, <지도로 보는 세계 미술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