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유의 글쓰기
셰퍼드 코미나스 지음, 임옥희 옮김 / 홍익 / 2008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나 자신과 화해하기˝ 가 가장 힘들지 않을까?(어버이날인 오늘, 엄마한테 엄마사랑해 문자 따위를 보내고 불효녀인 나와 살짝 화해했다)
오늘 밤엔 몸과 마음 그리고 영혼에 재미를 주는 아주 특별한 인생의 놀이 목록을 짜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단순한 삶 - 뜨거운 지구에서 쿨하게 사는 법
두에인 엘진 지음, 유자화 옮김 / 필로소픽 / 2011년 5월
평점 :
절판


*나는 일주일에 40시간씩 노예처럼 일하던 직장을 그만두고 일주일에 20시간만 일하는 내가 좋아하는 도서관 일을 하고 있다.도시에서 먹을거리를 재배하는 방법과 퇴비 만드는 방법도 배우기 시작했다.나는 내가 먹는 것과 내 소비방식에 대해 생각을 가지게 되었다.바느질과 수선,중고물건 구입하는 법도 배웠고,이제 더는 고기도 먹지 않는다.56p
*예컨대 내 진정한 재능이 아이들을 입양하고 기르는 것이라면 내게는 커다란 집과 자동차가 필요할 것이다.그러나 만일 내 진정한 재능이 예술창작이라면 나는 집과 자동차를 포기하고 내 예술적인 재능을 개발하는 쪽을 선택할 것이다.단순함은 가난한 삶에 관한 것이 아니라 목적 있는 삶에 관한 것이다.115p

...이렇게 살고 싶다.자발적인 가난이 아니라 자발적 단순함. 목적없이 흐르는 인생은 얼마나 시간을 낭비하는가?나에게 돈보다 중요한 것은 시간이다.나에게 주어진 시간과 에너지는 한정되어 있고 젊음이란 선물은 그리 오래 머물지 않을 것이다. 재능을 깨닫고 소명을 찾아 나자신이 자신으로서 온전하게 합치 되는 삶을 살아야한다.그것이 나에게는 단순한 삶이다.voluntary simplicity.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음의 작동법 - 무엇이 당신을 움직이는가
에드워드 L. 데시 & 리처드 플래스트 지음, 이상원 옮김 / 에코의서재 / 2011년 7월
평점 :
품절


*살아있음의 진정한 의미는 행복해지는 것이 아니다.인간의 감정을 온전히 폭넓게 경험하는 것이다.행복만을 추국하다보면 다른 감정의 경험을 가로막고 결국 부정적인 결과가 나타나기 쉽다.248p
*자율적인 사람은 다양한 감정을 온전히 느낄 수 있다.그리고 이러한 감정 경험은 삶의 가장 생생한 선물이다.감정을 온전히 느끼고 그것을 표현할 방법을 자유롭게 선택하는 사람이야말로 자율적인 사람이다.249p

살아내기가 하도 팍팍하다보니 어느새 나의 목표가 혹은 원하는 상태가 행복이 돼버린듯 했다. 행복의 정의에서부터 시작하여 행복해지는 법,어느 때가 가장행복한 지 알아내기에 급급했다. 집착. 하나를 좇다가 그외 다른 것들을 다 지나쳐버린 거다. 이제야 깨닫다니...나는 자유를 원하고 자율적인 인간이 되길 원한다.이 책은 그런 원함을 위해 만난 것 같다. 역설적이게도 불행하다는 느낌에만 집중되어 행복이란 단어만 좇다가 만난 뜻밖의 선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랑의 완성
로베르트 무질 지음, 최성욱 옮김 / 북인더갭 / 201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최고에요!! 에곤쉴레의 표지그림도 완전 좋아요 북앤더갭 ♥응원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너는 나에게 상처를 줄 수 없다 - 일에서든, 사랑에서든, 인간관계에서든 더 이상 상처받고 싶지 않은 사람들을 위한 관계 심리학 너는 나에게 상처를 줄 수 없다 1
배르벨 바르데츠키 지음, 두행숙 옮김 / 걷는나무 / 201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언제나 그렇듯 관계에 대한 심리서적은 주제와 결말이 비슷하다는 거다.자기자신을 먼저 사랑하라 -용서는 나를 위한 것- 분노는 자신을 망하게 한다 -감사하는 마음을 가지라-기타등등. 이 책도 예외없이 위와같은 심리학의 원론적 설을 몇몇 가벼운 예를 들면서 풀고있다. 중요한 건 이론과 실제는 매우 다르다는 것. 원론과 통계적 임상실험 결과 및 심리학자의 현란한 주장에도 여전히 현실적인 문제가 유지되기에 (즉 상처로 인해 힘들어하는 사람들이 여전히 존재) 이것은 ^개인^이 분노를 풀고, 상처준 이를 용서하고,의연함과 평정심을 되찾아서만은 해결될 일이 아니라는 게 내 생각이다.
사회학과 사회복지 혹은 철학이 필요하다.우리의 현실은... 더이상 심리학은 사회적 구조에서 파급되어 연결고리로 생긴 결과물들에 대한 상처들을 커버할 수 없다. 지금 우리사회에서 내가 받은 상처는 개인의 인내심 부족도, 속 좁은 복수도, 인간적 한계도 아닌 사회구조적 결함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