잃어버린 강아지 파랑새 그림책 36
난 그레고리 글, 론 라이트번 그림, 김세희 옮김 / 주니어파랑새(파랑새어린이) / 200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계속 이런 책만 이야기하는 이유는...
5월은 사랑과 감사의 계절...
누구보다 사랑받아야 할 아이들, 그렇지만 잊혀지고 소외된 곳에 있는 아이들..
매스컴을 통해 보여지는 그 아이들의 모습이 안타까와서...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 사는 현재의 모습에서 한발자국도 더 나가지 못하고 있는 제 자신의 모습이 부끄러워서...
이렇게라도 스스로를 달래고 있는지도 모르겠습니다.

난 그레고리 글에 론 라이트번 그림의 그림책 [잃어버린 강아지]는 표지그림에 눈이 가서 고르게 된 책입니다. 서점에서 책구경을 할 때 휙휙 넘겨가면서 내용은 보지 않고 일단 그림부터 보거든요.
우둘두둘한 종이 위에 세밀하게 사실적으로 그려진 그림..
사실적이면서도 중심인물에만 포커스를 맞춘 간결하고도 깔끔한 그림에 눈이 확 꽂혀버렸습니다.

“신디가 분명히 아는 것이 있다면“라는 문장이 연속해서 두 번 반복되며 시작되는 내용.
왜 분명히 아는 것을 강조할까? 다소 의아해했습니다. 비로소 클로즈업된 신디의 얼굴을 보고서야 아! 하고 말았습니다.
옆으로 올라간 눈꼬리에 평평한 얼굴... 다운증후군이로구나...비로소 감이 왔습니다.

그룹홈에 살면서 호스피스에서 청소부로 일하는 신디가 주인공입니다.
(그룹홈이란 장애인들을 아파트나 단독주택과 같은 곳에서 4~5명의 정신지체인들이 공동으로 생활하면서 그들이 능숙하게 해내지 못하는 금전관리나 행정적인 절차, 대인관계 등의 일들을 전문적인 사회복지사들의 도움을 받아 생활하는 형태의 제도로 정신지체인들의 사회적 자립을 돕고자 만들어진 지역사회 통합프로그램이라고 합니다. 미국에서는 70년대부터 이미 시행되고 있었고 우리나라는 서울시가 92년부터 시작되었다고 합니다)
(호스피스란 죽음을 앞둔 환자들에게 살기 위한 의술이라기 보다는 죽음을 평안하게 맞이할 수 있도록 위로와 안락을 주고자 하는 마음에서 비롯된 병원을 말합니다)

신디는 강아지가 자신의 가장 좋은 친구라는 것을 분명히 알지요. 그렇지만 사람들은 그렇게 말하지 않아요.
“신디, 더 이상 바보같이 굴지 마”
“넌 강아지를 돌볼 수 없단 말이야”
“넌 하루종일 일하잖아”
“네가 하루종일 일할 동안 강아지는 어떻게 하니?”
“넌 강아지를 가질 수 없어”

신디가 강아지를 가질 수 없는 이유는 그녀가 장애인이기 때문입니다.
차라리 이곳은 그룹홈이기 때문에 다른 이들에게 방해가 된다거나.. 원칙적으로 애완동물을 키울 수 없는 곳이라거나... 그런 이유였다면 신디도, 저도 화가 나고 가슴 아프지 않았을 거예요. 신디가 전화번호를 제대로 찾지 못하는 장애인이기 때문에 강아지를 키울 수 없다고 단정지어지는 현실인 겁니다.

좋은 가정에 입양시키기 위해 동물보호협회에 간 강아지 얼룩이를 찾으러 가보지만 얼룩이는 이미 떠나버리고. 신디는 오랫동안 공원벤치게 앉아 있었지만 아픔이 가시지 않았어요.
흔히들 다운증후군 환자들은 희노애락을 잘 못 느낀다고 하지요. 하지만 그럴까요? 아니요..그렇지 않다고 생각해요. 정도의 차이는 있겠지만 정말로 그렇지는 않다고 생각해요.
감정을 잘 못 느낀다고 생각하는 것은 그들이 비장애인인 우리가 생각하기에 우리가 익숙한 방법으로, 감정을 표현해내지 못하기 때문에 그렇게 단정지어 말하는 거 아닐까요?
숨을 쉴 때마다 가슴이 아픈 것 같았지만 우는 건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생각한 신디는 풀피리를 만들어요. “얼룩아 이리와. 얼룩아, 내게로 와”
그리곤 집으로 돌아갈 수 밖에 없었어요.

하지만 그렇게 매정하다 싶은 세상이긴 해도 우리 주변에는 그를 진정 아끼고 이해하는 사람은 있기 마련입니다. 신디에게도 말이죠.

난 그레고리의 최소한의 수식을 배제시킨 간결하면서도 솔직한 언어는 현재형으로 쓰여지면서 이야기의 흐름을 아주 객관적이면서도 유려하게 진행하고 있어요.
거기에 더한 아름다움을 주는 것이 론 라이트번의 일러스트인데 배경이 일체 생략된 채 핵심을 강조하여 얼굴 단면이나 한쪽 손과 같은 신체의 일부분만을 잡거나 또는 어깨너머의 유리창만을 비쳐주는 마치 영화앵글과도 같은 구도(때로는 표정조차도 흐릿하게 그려지지요) 않은데다가 명암이 풍부하지만 색채가 강하지는 않은 그런 그림을 그려넣음으로써 이야기를 아름답게 뒷받침하고 있습니다.
원제는 “
How Smudge Came”인데 Smuge가 강아지 이름이예요. Smudge, 왜 얼룩이가 되었냐하면요...

신디는 강아지를 침대 위에 올려놓았어요,
“오, 이런 이러. 강아지로구나”
“wid, 강아지가 보여요?”
"잘 보이지는 않아. 어둠 속에서 얼룩무늬만 보여.“
신디는 천천히 미소를 지었어요.
“저도 이 강아지를 처음 보았을 때 그랬어요. 어둠 속에서 얼룩무늬만 눈에 띄였거든요”

이 이야기를 할 때의 저 만족한 신디의 얼굴을 보세요.
“잃어버린 강아지”보다 원제인 “ How Smudge Came”가 더 이 책의 내용을 잘 나타내고 있는 거 같아요. 잃어버린 강아지..그러면 꼭 강아지와 아이의 우정 내지는 해프닝을 담은 그런 책으로 생각되지 않으세요?


댓글(2)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치유 2004-05-14 22:5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렇게 정리 쭈욱 해서 올린 리뷰 보면 음메~기 죽어~~~~~!

밀키웨이 2004-05-15 01:1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이고...기죽지 마세요.
딥따리 길기만 하지.. 별 영양가도 없고 알라딘에 워낙 출중하신 분들이 많으신지라 많이 배우고 있는 중이랍니다.
생각을 정리하는 법을 좀 터득했으면 좋겠어요 ^^
진짜루요...;;
 


 

                              Dove sono i bei momenti from Le nozze di Figaro | W. A. Mozart | Karl Bohm


이렇게 햇살 눈부신 오후에 풀밭에서 간단한 점심이라도 같이 하면 좋았겠다.



Le dejeuner sur l'herbe




이름모를 작은 꽃 흐드러진 곳이면 더 좋겠지



Au Jardin, la famille de l'artiste





점심 먹고나서는 뭉게구름 뒤로하고 양귀비꽃 가득한 언덕을 내려가



Les Coquelicots à Argenteuil





잠깐 우리집에 들러 쉬었다 가.



Le Jardin de Monet à Argenteuil (les Dahlias)





마음에 드는 책 한권 가지고 나와 그늘에 앉아 읽어도 좋고



La Liseuse





아니면 아이랑 앞마당에 나가볼래?



La maison de l'Artiste à Argenteuil





붓꽃 활짝핀 뜰 한켠을 돌아



Le Jardin de Monet, les iris





좁은 오솔길을 지나



Le Jardin de Monet à Vétheuil





작은 연못에 가면



Nymphéas





내가 좋아하는 구름다리가 있는데 그 아래 수련이 얼마나 예쁜지 몰라.




Bassin aux nymphéas





이제 향긋한 차나 한잔 하자. 차 좋아하지?



Le Déjeuner





벌써 갈 시간이구나. 참 이거 가져가. 아상만큼 사랑스런 꽃 한다발...



Bouquet de mauves


대문 활짝 열어둘께. 기분나면 언제든 또 놀러와...

그리고 다시 한 번 생일 축하해..





All paintings by Claude Monet from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책읽는나무 2004-05-08 16:2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걸 다 받은건가요??......
우와 이렇게 해놓으니 멋진 미술관이 되었네요...^^
꽃다발 한움큼 가져갑니다....꾸벅~~(ㅡ.ㅡ)(_._)

밀키웨이 2004-05-09 02:1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예, 좋은 분을 만나서 생일에 받은 메세지랍니다.
이날 정말 감동 잔뜩 먹었지요 ^^
 
자라지 않는 소녀 트루디 삶과 사람이 아름다운 이야기 3
지젤 포터 그림, 어슐러 헤기 글, 김경연 옮김 / 베틀북 / 2003년 11월
평점 :
품절


장애인이 주인공인 책은 대충 그 내용의 줄기가 다음의 두가지 정도인 거 같아요.

★ 여기 한 장애인이 있다 → 장애를 가진 것을 부끄러워하고 속상해한다 → 어느날 누군가를 만난다 → 그(그가 자신과 같은 장애인이든 아니면 정상인이든..)와의 일로 인해 자신의 장애를 극복한다.

★ 여기 정상적인 신체를 가진 사람이 있다 → 자신의 환경에 대해 그리 만족하지 않는다, 장애인을 무시하고 거부한다 → 어느날 한 장애인과 가까와진다 → 그 장애인의 밝고 긍정적이며 무지하게 노력하는 삶의 자세를 보고 느낀 바 크다 → 새로운 삶의 모습을 갖는다

예, 이게 실제 우리가 지금 겪고 있는 일상의 모습이겠지요.

외국의 다른 나라들은 우리나라보다 장애인에 대한 시각이 조금 더 인간적이고 발전지향적이라고 들었어요. 하지만 사회전반의 인프라에 상관없이 장애를 가진 이들이 느끼는 생각은 그 정도의 차이는 있더라도 모두 다 한결같이 자신도 정상이길 바라고, 자신의 존재가치를 인정받고 싶은 것이겠지요 (물론 정상인 사람도 자신의 존엄성 인정에는 목을 메겠지만...)

트루디도 그렇습니다.
그래서 밤에 잠이 들 때면 내일 아침에는 키가 커져 있기를 바라고 문틀에 매달리는 행위를 통해서 팔다리가 길어지기를 바라고 (실제로 키가 작은 아이를 두신 분들 중에 이렇게 매달리기를 시키시는 분도 있다고 하더군요. 팔다리의 생장점을 자극해서 키가 커지게 하시려는 안타까운 마음에서 말여요) 머리가 더 커지지 않게 하기 위해 엄마의 스카프를 머리에 동여매기도 하는 그런 난쟁이 소녀입니다.
트루디는 자기랑 비슷하게 생긴 사람들이 또 있는지 그게 궁금하고 자신도 무언가를 할 수 있다는 걸 사람들이 알아차려 주기를 바라지요.

서커스 구경을 갔다가 만난 난쟁이 조련사 피아는 그런 트루디에게 먼저 자기 자신의 생각이 진정으로 바뀌지 않는다면 세상 어디를 가든 외롭다고, 그것을 바꿀 수 있는 사람은 자신밖에 없음을 일깨워 줍니다.
또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차이란 서로간의 생각의 차이, 즉 아름다움을 규명하는 잣대의 기준의 차이일 뿐이라고 말합니다.

하지만 아쉬운 점은 트루디가 처음 만난 난쟁이가 서커스단에서 공연을 하는 사람이어야 할까입니다.
난쟁이라는 핸디캡을 가진 사람들이 택할 수 있는 직업(?)은 보통 그런 것이었다는 어떤 고정관념을 보여주는 듯 해서 마음이 가볍지만은 않습니다. 피아가 서커스단원이 아니라 우리가 쉽게 접할 수 있는 그런 직업을 가진 사람이었다면 어땠을까요? 평범하고 일상적인 가정을 꾸미면서 비장애인들이 하는 일을 똑같이 하고 있는 그런 사람...
트루디 마음 속의 “저도 결혼을 할 수 있을까요, 아이들을 갖게 될까요? 아이들도 저처럼 키가 작을까요?”와 같은 고민들의 해답이 조금이나마 보여질 수 있는 그런 거 말입니다.

자신과 같은 사람이 한명도 없는 그런 마을에서 느끼는 트루디의 이질감으로 인한 탈출욕구에 맞추기 위해서 한곳에 정착하지 않고 여기저기를 떠돌아다니는 사람, 또 트루디와의 만남이 지속적인 것이 아니라 한순간일 뿐이고 곧 그 곁을 떠나야 하지만 “너는 외롭지 않다“라는 메시지를 주기 위해서는 서커스단이라는 설정이 필요했는지도 모르겠습니다만...

역설적으로 피아의 직업을 놓고 마음에 걸려하는 것이 오히려 그 직업을 하찮게 여기는 저 자신의 편견에서 비롯된 것일 수도 있지요.

“네가 나랑 같이 간다고 해도 혼자라는 느낌은 바뀌지 않을 거야. 그것을 바꿀 수 있는 사람은 너 자신밖에 없단다. 이렇게 말이야”
피아는 짧은 팔로 자기 몸을 감싸안았어요. 그리고 천천히 팔을 풀면서 빙그레 웃었어요.
“어느 날, 넌 이걸 꼭 기억하게 될 거야”

마지막 맺음이 아직 심각하게 자기의 존엄성에 대해 생각해보지 못한 어린 아이들에게는 다소 어렵거나 재미없을지도 모릅니다. 어른의 시각에서 보아서 좋은 그림책인지도 모르지요.
하지만 결코 외면할 수 없는 주제를 담고 있는데다가 지젤 포터의 화사하고 섬세한 일러스트가 다소 무거울 수도 있는 이야기를 따뜻하게 감싸고 있습니다. 거기에 믿을만한 역자 김경연이 번역을 했기에 점수를 더 주고 싶습니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반딧불,, 2004-05-08 14:1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런 책은 부담스럽답니다..제 자신의 편견과 만나게 될 거라는 것을 ..당연히 아니까요..
언젠가 정신적인 장애자인 정상인에 대한 이야기를 들으며 공감하고
또 잊어버리고...다만....부담스러워하는 저 스스로에게 더욱...
아..스스로도 힘드네요...이러니 이런 류 책은 더더구나 아이들에게 잘 읽혀지지가 않는답니다..반성해야하는데..그렇죠??

오체불만족 읽으셨어요?? 그 책을 읽으면서 제일 충격적이었던 것은..표지에 쓰인 사진이었습니다..웃음으로 빛나는...

밀키웨이 2004-05-08 14:2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반디각시.
제가 다소 무거운 어조로 글을 써서 그렇게 느꼈을지도 모르겠습니다만 이 책, 그렇게 부담스럽지 않아요.
오히려 사랑스럽지요. 일러스트가 섬세해서 괜찮지 않을까 싶어요.
언제 서점에 나가실 기회 있으시면 그때 한번 보시면 좋을 거예요.
누구에게나 영 부담스러운 책 있지요. 이해합니다.
오체불만족.. 어디다 두었더라...
까맣게 잊어버리고 있었네요.

반딧불,, 2004-05-08 14:4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니지요...
맞닥뜨리기 싫은 것이 있는거지요..
녜..보기는 하려고 합니다..
보는 것만도 좋지요...생각하고 느낀다는 것은..

. 2004-05-08 16: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 책은 못 본 책이네요. 소개 감사하옵니다.
 



우리나라에 장애인복지가 처음 시작된 것은 1981년이다.

유엔에서 1981년을 <장애인의 해>로 정하고 각 회원국에서는 장애인복지를 실시하도록 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에서도 1981년 [심신장애자복지법]을 제정하고 4월 20일에 처음으로 장애인의 날 행사를 개최한 이후 해마다 4월 20일을 장애인의 날로 정해 이 날을 기념하고 있다.

유엔에서 규정한 장애인의 개념은 『선천적이든 후천적이든 간에 신체적 정신적 결함으로 인하여 일상의 개인 혹은 사회생활에 필요한 것을 스스로 혹은 부분적으로 수행할 수 없는 사람』을 의미한다.

그 당시만 해도 우리나라에는 장애인이라는 용어가 없었기에 병신 아니면 불구자였고 개별 장애를 지칭하는 맹인 절름발이 꼽추 등의 부적절한 용어가 언론에서도 쓰이고 있었다.

유엔에서는 세계 장애인의 해를 ‘International Year of Disabled person’으로 표시했고, 일본은 장해자(障害者), 중국은 잔질인(殘疾人)으로 사용하고 있었으며, 우리나라도 보험관련에서는 지금도 장해(障害)로 사용하고 있는데 그 당시 일본의 장해자를 우리나라에서는 장애자라고 바꾸어서 1981년 우리나라에서 장애인관련 법을 처음 만들면서 <심신장애자복지법(心神障碍者福祉法)>이라고 하였다.

그때부터 장애자를 사용하기 시작했는데 몇 년 후 어떤 사람들이 ‘왜 놈자(者)를 쓰느냐 者자가 싫다. 인(人)으로 바꾸어 달라'고 항의를 했다고 한다. 기자(記者) 학자(學者) 봉사자(奉仕者) 등 일상에서 者자는 많이 쓰이고 있음에도 어떤 장애인이 항의를 했다고 해서 者에서 人으로 바꾼 것은 부질없고 쓸데없는 일이라 생각한다. 그로 인해 각종 법을 비롯하여 모든 행정문서는 물론이고 공공기관의 안내문까지 다 고쳐야 하는 그야말로 낭비였고 오히려 일반 사람들에게는 혼란만 가중시켰다.

더구나 많은 사람들에게 이미 장애자가 익숙해져서 아직도 대부분의 사람들은 장애자라고 부르고 있다. 그리고 者에서 人으로 바뀌었다고 해서 장애인에 대한 인식이나 편견이 별반 달라지지도 않은 것 같고, 청소년들 사이에서는 애자(碍者)라고 해서 장애인을 비하 내지 멸시하는 또 다른 유행어가 되고 있다.

장애자(障碍者)는 우리 국어사전에도 없는 말이고 국어사전에 나와있는 장애(障碍)는 『거치적거리어 방해가 되는 일, 또는 그것.』이라고 되어 있다. 그래서 1994년 전에 필자가 근무했던 부산장애인총연합회에서는 ‘장애인 새이름 찾기’를 공모했었는데 많은 사람들이 참여를 했으나, 바람직한 새이름도 찾지 못했을 뿐더러 교육부에서는 찬성을 하는데 보건복지부에서는 반대를 하는 등 성과는 별로 없었다.

그 후 장애자에서 장애인으로 공식적으로 바뀐 것은 1987년 3월 27일 <심신장애자복지법>이 <장애인복지법>으로 개정되면서 부터였다.

그런데 1987년 12월 장애우권익문제연구소가 설립되면서 <장애우(障碍友)>를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장애우(障碍友)는 장애를 가진 사람과 장애를 갖지 않은 사람 모두가 친구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그러나 장애우란 내가 나를 지칭할 수 없고 타인이 나를 불러 줄 때만 사용할 수 있는 비주체적인 용어이다. 따라서 장애인 스스로가 아닌 대학생 봉사동아리 등에서 주로 사용하기 시작했는데 최근 들어 언론은 물론이고 장애인 스스로도 장애우를 즐겨 사용하는 기현상이 일어나고 있어 일부에서 ‘장애우라는 표현을 사용하지 말자’는 운동도 펼쳐지고 있다.

세월이 지나서 또 다른 멋진 말이 생길지 모르겠지만 현재 대한민국에서의 법적인 공식 용어는 『장애인복지법』이고『장애인』이다. 장애자 또는 장애우로 혼용하지 말았으면 좋겠다.

<하사가장애인상담넷 운영자 이복남>



댓글(4)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물만두 2004-05-08 10:2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중요한 것은 명칭이 아니라 생각됩니다. 명칭은 껍데기일 뿐이죠. 내용이 어떠냐가 문제죠. 장애인이든 장애우든 말이 아니라, 말로 힘 빼지 말고 무엇이 그들을 위하고 그들에게 필요한 지를 생각하고 실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제발 말보다 행동과 실천이 앞섰으면 합니다. 김가, 김씨, 김선생님, 김사장님 등등... 이게 중요합니까... 마찬가지 아닐까요...

밀키웨이 2004-05-08 11: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예, 물론 명칭은 정말 중요한 게 아닙니다.
그런데 그런 말장난을 듣고 있다보면 그 속에 담겨진 가치관이 보여지는데 그게 정말 싫습니다. 말이 생각을 좌우하는 그런 시대에 살고 있다고나 할까요? 제 생각입니다만..;;;
부끄러운 이야기지만 둘째 임신했을 때 심각한 장애가 우려된다는 말을 들었었지요.
그때 가족들의 의견은 전부다 못 키운다였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어떻게 장애를 가진 아이를 똑바로 키울 수 있느냐... 부모만 불행한 게 아니라 그애도 불행하다...그런 이야기였답니다.
그런데 정말 감사하게도 아이는 정상으로 태어났고(몇군데 병원신세 질 일이 기다리고 있긴 합니다만) 그러다보니 제 자신이 가지고 있던 생각이 그리 부끄러울 수가 없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아직도 여전히 저는 장애인에 대해 마음을 열지 못하고 있다는 겁니다...
뿌리깊게 제 골수에 박힌 이노무 편견을 저도 어찌 뽑아내야 할까요.

물만두 2004-05-08 12:4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억지로 하시면 안 됩니다. 그런 생각은 당연한 거니까요. 길을 가다 멋진 남자가 있으면 쳐다 봅니다. 그럴때 그 남자가 이상한 시선이라 생각하지는 않죠. 그런데 장애인을 쳐다보는 것을 우리는 죄의식처럼 생각합니다. 그럴 필요없는데 말입니다. 장애인과 비장애인은 차이가 있죠. 그 차이를 인정하지 않는 것이 문젭니다. 나와 다른 남을 보는 건 이상한 게 아니니까요. 차라리 더 많이 봐주고 더 많이 생각하면 더 많은 관심을 갖게 되어 외면하는 것보다는 낫답니다. 님이 그리 생각하시는 것 자체가 장애인에 대한 관심의 표현이니까요. 절대 이상한 거 아니라 생각합니다. 한 발만 더 내 밀면 됩니다. 자, 두번째 발을 옮기세요. 그냥요...

밀키웨이 2004-05-08 14:5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럴까요? 물만두님 덕에 용기내어 두번째 발 옮기렵니다.
넘어질라카면 잡아 주세요 ^^
제가 쳐다보는 그 눈길이 단순히 호기심으로만 그치는 것이 되지 않기만을 바랄 뿐입니다.
 

 
 
and I love you so,
the people ask me how,
how I've lived till now
I tell them I don't know

I guess they understand
how lonely life has been
but life began again
the day you took my hand

and yes I know how lonely life can be
shadows follow me
the night won't set me free
but I don't let the evening get me down
now that you're around me

and you love me too
your thoughts are just for me
you set my spirit free
I'm happy that you do

the look at life is brief
once the page is read
all but love is dead
this is my believe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반딧불,, 2004-05-08 14:2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이쁜 그림이네요...
제가 듣고 싶으니 퍼갑니다..보고도 싶고...

밀키웨이 2004-05-08 14: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팍팍 퍼가십시요, 인심좋은 밀키 흐흐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