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 자유 그리고 홀로서기
오쇼 지음, 손민규 옮김 / 청아출판사 / 2003년 11월
평점 :
절판


사랑은 어렵다. 사람마다 다른 사랑을 꿈꾼다. 연애를 생각하는 것이 일반적일까? 일반적이라는 것이 있는 것일까? 어떤 것이 사랑이고 어떤 것이 집착인지 라즈니쉬의 제자들은 묻는다. 그는 일단 사랑하라고 말한다. 두려워하지 말고 사랑하라. 대신 깨어있기 위해 애쓰라고 말한다.

깨어있는 것은 그의 말대로라면 주시하는 것이다. 자기 자신을, 사물을, 모든 것을 주시하는 것이다. 그것이 라즈니쉬가 말하는 명상이다. 주시는 어떤 상황에서도 침묵과 홀로있음을 동반하는 것이 아닐까?

자기 자신을, 존재를 사랑할 수 없는 사람의 말로는 결국 집착과 쓸모없는 문제들을 일으키는 것이다. 존재란 조건없음이다. 그러나 누가 조건없음에 당당하겠는가? 라즈니쉬는 홀로있을 수 있는 자라고 대답한다. 홀로있음에 즐겁다면 그는 존재에 다가간 것이다.

나는 혼잣말을 잘 한다. 혼자 있어도 심심하지가 않다. 쉬임없이 중얼댄다. 이것은 홀로있음이 아니다. 내부에 다른 대상을 끊임없이 만들어내는 것은 홀로있는 것이 아니다. 가만히 주시할 수만 있을 때 존재를 느낄 수 있다.

홀로있을 수 있는 자는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다. 공자가 안회를 '노여움을 옮기지 않는(不遷怒)' 제자라고 했는데, 아마도 안회는 이미 홀로서기를 한 사람이리라. 홀로있음이 두려운 사람들은 두려움 때문에 관계를 맺고 문제를 일으켜 옮기며, 기꺼이 자유를 희생시킨다. 필요없는 사람이 될까봐 두려워한다. 에리히 프롬은 '자유로부터의 도피'에서 사람들이 어렵게 얻은 자유를 히틀러와 같은 독재자에게 바칠 수 있게 하는 것은 '소외'될까 두려워하는 마음 때문이라고 했다. 고요히 있는 것이 또한 두려워 문제를 일으킨다. 문제나 염려가 관계를 결속시킨다고 여기는 것일까? 결혼하지 않는 사람에게 왜 결혼하지 않느냐고 묻는다. 결혼을 하면 사람들은 왜 아이를 갖지 않느냐고 묻는다. 마치 그 모든 것이 무슨 문제나 되는 것처럼.

예수는 '내 기쁨이 너희 안에 있어 너희 기쁨을 충만하게 하려'(요한15:11) 한다고 하였다. 관계는 문제를 일으키는 것이 아니라 기쁨을 나누는 것이다. 그것은 홀로있음을 할 수 있는 사람이라야 가능한 것이다.

홀로서기 한 사람만이 진정으로 사랑(관계)할 수 있으며, 그 관계는 서로를 자유롭게 한다. 사랑이나 자유나 홀로서기와 같은 단어는 선망이나 두려움의 대상이 아니다. 언제나 우리가 문제 삼는 문제들을 사라지게 하는 존재의 움직임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함경 (포켓북) - 작은 경전 2
돈연 옮김 / 민족사 / 200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만 몰랐던 것일까? 부처님의 제자들의 이야기와 연기, 사성제와 팔정도, 계율에 관한 이야기들...절에 가면 익숙하게 듣던 불교교리이자 핵심 교리와 앙굴라마라 도적 이야기 등이 이 책에 가득하다. 반복되는 찬탄과 형이상학적인 글귀가 많은 대승경전과 달리 이 책은 쉽고 친근하게 와 닿는다.

민족사의 작은 경전 [아함경]은 아함경 전체의 내용을 다 싣고 있는 것은 아니지만 읽기 편하게 정리되어 있다. 어쩌면 이렇게 작아서 멀게만 느껴졌던 경전이 더 가깝고 가볍게 손에 들 수 있어 더 좋은지도 모르겠다.

경전이라는 이름에 주눅이 들 필요는 전혀 없다. 이야기책이다. 그렇지만 불교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을 일반서가 아닌 경전을 통해 바로 들여다 보고 싶다면 이 책은 유용하다. 이 책을 통해 내게 경전은 재미있는 책이 되었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초콜렛 2004-03-20 16:3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평소 불교경전은 읽고 싶었는데, 어느 책부터 읽어야 될지 몰랐답니다. 이야기책으로서 책을 접하고 싶었는데, 님의 리뷰를 보니 아함경이 좋겠구나 싶더군요. 다음에 책 구입할 때 장바구니에 꼭 담아야겠다라 마음 먹었답니다. 리뷰 고맙습니다.

이누아 2004-03-21 07:0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작은 경전 시리즈를 권합니다. 폼잡고 앉아 읽을 필요도 없고, 책값도 싸고, 책이 작아 들고 다니면서 읽기에 아주 좋습니다. 제 가방에는 작은 경전 시리즈 중 하나가 언제나 들어 있습니다. [백유경] 같은 책은 경전이라기보다 그냥 이야기책입니다. [숫타니파타]는 시에 가깝고요. 백유경은 아이가 좀 자라면 읽어줘도 좋을 듯합니다. 실제로 제 친구는 임신했을 때 태교용으로 제게 [백유경]을 빌려가기도 했습니다. 반드시 종교적으로 접근할 필요는 없습니다. 모든 종교나 철학이 우리 스스로의 본성에 관한 의문일 뿐이니까요.

Laika 2004-04-03 18:2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님의 얘기 엿듣고, <백유경>,<아함경>을 읽어봐야겠다는 생각이드네요..
제가 읽어본거라고는 <숫타니파타> 뿐인데, 두고두고 읽을수록 좋더군요..
 
숫타니파타 (포켓북) - 작은경전 11
석지현 옮김 / 민족사 / 200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어나라, 앉아라. 잠이 웬 말인가. 고뇌의 화살에 맞아 신음하고 있는 자가 지금 웬 잠이 이리 깊은가. 숫타니파타는 시다. 소리내어 읽으면 울림이 있다. 잠이 번쩍 깨게 한다. 집착은 도처에 있다. 내 내부에도 가득하다. 이 책을 읽노라면 때 벗겨지는 소리가 난다. 얼마나 두꺼운지 소리가 다 난다. 숫타니파타는 맑은 책이다. 나를 맑히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백유경 (포켓북) - 작은경전 9
현각 지음 / 민족사 / 200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백유경은 백 가지 비유로 적힌 글이라는 뜻이다. 쉽게 말하면 이야기책이다. 백 가지라고 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아흔 여덟 가지 이야기다.

이 가운데 목마른 어리석은 사람에 대한 비유가 있다. 한 사람이 목이 몹시 말라 강으로 뛰어 갔지만 막상 강에서 물을 마시려 하지 않았다. 옆사람이 왜 마시지 않느냐고 했더니 '그대가 다 마시고 나면 내가 마시겠다. 이 물이 너무 많아 한꺼번에 다 마실 수 없기 때문이다'라고 했다. 이 사람이 비웃음을 당했음은 당연하다.

송담 스님께서 십선계를 주실 때 비슷한 말씀을 하신 적이 있다. 계를 아무래도 온전히 지키기는 어려우니 아예 계를 받지 않으려는 사람들이 양심적인 듯 보이지만 실제로는 계를 아예 지키려는 노력도 하지 않으려는 사람이라고 하셨다. 비록 피치못할 사정이 있을 때 어기게 될지라도 계를 받아 어겼을 때 참회하고, 평소에 지키려고 애를 써야 된다는 말씀이셨다. 이 목마른 어리석은 사람도 물을 아예 마시지 않으면 갈증이 사라지지 않는다는 것을 알지 못하고 있음이다.

이렇게 백유경은 하나의 이야기에 하나의 교훈을 적어 두었는데, 방금 나처럼 나의 경험으로 이야기들을 비춰 본다면 더 재미있게 읽을 수 있으리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잊혀진 건강원리 - 금오 김홍경의 40일 강좌
김홍경 지음 / 책만드는식물추장 / 2003년 5월
평점 :
절판


책을 펼쳤을 때 비전공자가 보기에도 너무 쉬웠다. 거기다 재미있기까지 해서 단숨에 절반을 읽었다. 그러나 그뒤 비전공자의 어려움은 경락에 있었다. 경락이름이 생소한 데다가 머리 속으로 상상할 만큼 기본지식도 없어 간단한 경락그림이라도 있었으면 하는 아쉬움이 있었다. 경락에 대해서도 아주 쉽게 설명해서 조금만 애를 쓰면 비교적 잘 이해할 수 있을 것도 같은데 비전공자가 쉬워 보여서 읽기 시작한 책으로 그런 마음을 내기도 쉽지 않고, 침을 놓을 것도 아니어서 덜 절실해져서 그런지 결국 경락까지 익히지는 못했다.

하지만 생활 속에서 간단하게 지압할 수 있는 혈자리를 익히거나 간단한 생활의 건강지혜를 얻을 수도 있고, 조금만 애를 쓴다면 금오 선생님께서 수차례 강조하시는 건강의 '원리'도 익힐 수 있는 유익한 책이다. 게다가 전공자라면 어떤 영감마저 얻을 수 있을 것 같은 느낌을 준다. 나는 너무 빨리 읽고, '비전공자라 경락에 대해 모른다'라는 생각을 해서 이 책을 제대로 소화하지 못한 것 같다. 그런 마음을 접고 너무 가볍게도 너무 무겁게도 생각하지 않고, 금오 선생님의 말씀을 따라 좀 천천히 읽거나 두어 번 읽으면 생활 속에서 잊혀진 건강원리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