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도 쓸쓸하냐 - 2004년 1월 이 달의 책 선정 (간행물윤리위원회) 운문산답 1
이아무개 (이현주) 지음 / 샨티 / 200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구름이 묻고 산이 대답한다'라는 이 말은 이현주 목사님이 자신의 생활에서 느끼는 수행기를 자신 속의 또 다른 나와의 대화를 통해서 적은 글이다. 그것은 채널링이라고는 볼 수 없고 누구나가 자신 속에 있는 또 다른 나와의 만남이라고 볼 수 있다. 다석 류영모 선생님 말씀대로라면 '몸나'와 '얼나'와의 대화를 시도한 것이라고 볼 수도 있겠다.

우리는 사물을 접하거나 우리 외부의 현상을 대할 때 사실은 그것의 현상을 파악하는 나와 그 현상이면의 실상을 파악하는 나가 동시에 있음을 알게 된다. 내가 깊은 잠에 빠져 자고 일어나서 '난 정신없이 깊은 잠을 잤어'라고 얘기한다면 그 정신없이 깊은 잠을 자고 있음을 알아차리는 자신이 또 있음을 말하는 것이 아닐까. 우리가 전쟁을 접하면 외부의 현실에 비참함을 느끼기도 하지만 내 마음 속의 전쟁을 다시금 보게 된다. 나무를 볼 때도 사람을 볼 때도 그 사람의 어떤 특성들을 볼 때에도 사실은 외부의 현상만이 아니라 내 내면속에 자리한 그 대상을 보는 것이 된다.

따라서 늘 우리가 어떤 사건이나 일들을 접할때 이렇게 몸나가 행하는 것과 그 몸나가 행함을 지켜보고 있는 참나가 있음을 알아차리는 것은 중요하다. 그럴때에 우리는 외부의 현상과 그에 반응하는 자신의 행동에 참된 자신이 있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바라보고 결정짓는 무언가가 내면속에 자리잡고 있음을 알아차리게 되고 모든 외부현상과 자신의 행동에 대한 교훈과 결과를 자신에게 귀결시킬 수 있게 된다.

그것은 몸나가 가진 집착과 욕망으로부터 해방시켜주고 그런 의미에서 우리가 접하는 모든 인생경험이 가진 삶의 교훈을 제대로 인식하게끔 해준다. 그럴 때 우리는 세상의 평화를 이루기 위한 peacemaker의 역할을 해낼 수 있는 것이다. 스스로 밝은 빛이 되면 저절로 방안이 환하게 되듯이 자신이 스스로 평화 그 자체가 되어야만 세상의 평화를 이룰 수 있는 것이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 뭐꼬 - 마음에 새겨듣는 성철 큰스님의 말씀
성철 스님 지음 / 김영사 / 2002년 10월
평점 :
절판


다시 화두다 화두를 드는 것은 절박함에서 비롯된다. 우리 인생을 헛되이 소비하기엔 한 밤의 꿈처럼 너무 짧은 까닭이다. 일상으로 돌아가면 육체의 일로 복잡하고 혼란스러운 마음뿐이다. 그 마음 붙들어매는 방법이 바로 그것이다. 그것이 없는 마음의 모습 드러내는 방법이다. 헛된 상념 한꺼번에 날려버리는 천둥과도 같은 소리다. 한 순간 마음 속에 만들어진 온갖 형체의 잡념들 깨어진다. 칼로 가른 물과 물사이 스며들듯 다시 스며드는 온갖 생각들..... 화두는 그런 생각들이 주변에서 흘러가게 해준다. 그런 생각들과 한 생각의 틈을 만들어준다. 그래서 생각이 일어나고 쓰러져가는 과정을 바라보게 한다. 결국 화두는 마음의 본바탕 알게 한다. 나를 알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해우소에서 만난 큰스님
박기영 지음 / 고요아침 / 2003년 7월
평점 :
절판


깊어만 가는 가을 하늘이 푸르고 깊다. 그 맑고 푸른 가을 하늘을 바라보며 하늘에 깃든 불성을 가늠해본다. 우리 마음도 저 하늘처럼 맑고 푸르다면 우리 자아의 모습이 보다 투명해지고 맑아지겠구나 하는 생각을 해본다. 이 좋은 가을날에 차분히 깊어만가는 하늘을 닮아 우리 마음 속 깊은 곳에 자리한 본래의 자신과의 만남을 선승의 지혜와 함께 해본다.

해우소! 뱃속에 있는 더러운 오물만을 버리는 곳이 아니다. 우리 마음 속에 자리한 탐, 진, 치의 오물도 그곳에서 버리는 곳이라는 큰 의미가 담겨 있다. 삼라만상에 불성이 있다는 말, 삼라만상을 들여다보는 내 마음 속에 불성이 있음이다.

책을 넘기는 손을 가볍게 만드는 재미가 그 속에 담긴 선승들의 깊은 깨달음을 가볍게 만들지 않나 하는 우려와 걱정이 있다. 걱정일 따름이다. 나 자신이 우선 이 책으로부터 얻는 것이 단지 재미만이 아니기 때문이리라.

이 책을 통해 한국 선불교사의 구조적인 지형도는 스스로가 밑그림으로 그려볼 수 있다. 그리고 선승들의 깨달음의 오도송도 느껴볼 수 있다. 무엇보다 그들의 삶 속에서 마음이 지향했던 한 점으로 내 마음을 기울여볼 수 있다. 그 한 점은 흩어지고 혼란스러운 내 마음을 모아주는 그런 한 점이다.

선불교의 커다란 강줄기를 따라 우리는 바다로 이르는 길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가둘 수 없는 영혼 - 어느 티베트 라마승의 자서전
팔덴 갸초 지음, 정희재 옮김 / 꿈꾸는돌 / 2003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책을 덮어도 이 책의 감동은 고스란히 내 가슴 속에 남아 있다. 그 감동은 세상의 왜곡되고 짓눌린 인간성에도 불구하고 순박하게 살아가는 사람들에 대한 감동이 아니다. 사회주의 혁명 과정에서 보여진 이데올로기에 대한 맹신이 가져오는 사회 비극에 대한 절실한 인간성 회복으로부터 오는 감동도 아니다. 그것은 외부세계에서 닥쳐오는 시련과 고통에도 불구하고 끝끝내 자신의 내면 속에 흔들리지 않는 영적 불꽃을 지켜내고 키워간 그 원천의 힘을 나의 마음 속에서 스스로 찾아볼 수 있게 만드는 감동이며, 그것은 또한 우리 삶의 행, 불행의 상황에도 불구하고 우리 삶에서 지향해야 할 것들에 대해 다시 생각해보게 하는 감동인 것이다.

수없이 계속되었던 의식을 잃을 정도의 고문과 육체적 고통속에서도 그 육체적 고통과 아픔을 견디어낼수 있도록 지탱해준 힘, 그리고 그것을 극복해내고 마음이 지향하는 바를 놓지 않게 하였던 그 내면적인 힘을 이길 수 있는 것은 세상 어디에도 없었던 것이다. 비록 사회주의 혁명이 세상의 온 모습을 바꿀 수는 있어도 흔들리지 않는 영혼의 불씨를 꺼지게 할 수는 없는 것이었다.

이 내면의 힘은 단지 극한 고통 속에서 자신의 생존을 위해 외부세상으로 향하는 감각의 문을 스스로 폐쇄해버리고 세상으로 통하는 문을 모두 잠가버린 것과는 차이가 있다. 그것은 자신에게 주어지는 고통과 시련을 회피하게 만드는 것이며 단지 부정하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비록 심한 감시와 행동제약으로 자신의 종교의식과 내면의식을 행하는 기회는 줄어들었을지 몰라도 그가 항상 마음 속에 흔들리지 않는 중심을 갖고 외부의 현실을 대하는 데에는 자신의 선택권이 여전히 존재하였음을 팔덴 갸초의 수감생활을 통해서 알 수 있다. 외부적 고통과 극심한 고문에 따르는 상처와 아픔에도 그것에 휘말리거나 주룩들지 않고 떳떳하게 자신의 소신을 지켜나가고 주어지는 삶을 능동적으로 선택해가는 힘, 그것이 바로 그가 가진 내면의 힘이었던 것이다.

왜 선한 사람들에게 시련이 닥치는가? 왜 순수한 영혼에게 고난이 오는가? 아마 그것은 그 시련을 통해 이루고자 하는 영적 의미가 있기 때문일 것이다. 인생의 모든 시련과 장애물이 가지는 의미와 같이 이런 시련은 그 시련 속에서도 꺼지지 않는 영혼의 불꽃을 지켜내기 위한 실험일런지도 교훈일런지도 모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내 영혼의 빛
예후다 베르그 지음, 구자명 옮김 / 나무와숲 / 200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 어려운 희브리어 경전인 카발라를 이처럼 쉽게 옮겨 놓은 저자의 능력에 감탄한다. 더더욱 이 한 권의 책이 우리 우주의 존재와 우리 인생의 의미에 대해 이토록 명쾌하고도 심오한 깊이를 담고 있다는 점에서 한번 더 고마운 마음이 생겨난다.

이 책에서 우주의 탄생과정과 삶의 의미를 보여주는 핵심적인 개념은 '부끄러움의 빵'이다. 그것은 완전한 빛의 존재인 우주를 현상태인 카오스의 우주로 있게 만든 원인이다. 또한 그것은 우리 삶이 그 본래의 의미를 찾아가도록 해주는 나침반의 구실을 해준다.

부끄러움의 빵은 우리들의 일상 속에서도 깊이 스며들어 있다. 불로소득, 무임승차, 양심에 반하는 행동, 마음에 티끌같은 부정의 자국이 남는 행위와 마음. 이 모든 것을 저자는 반응성 행동이라 불렀다. 그러면 부끄러움의 빵을 없애는 방법은 무엇일까? 그것은 반응성 행동을 긍정적 행동으로 바꾸어내는 것이며 반응성 행동으로 인해 되돌아온 업을 바르게 고쳐가는 '티쿤'이다.

이 책은 나같은 평범한 그릇에도 빛이 들 날이 있음을 희망하게 한다. 그것은 애초에 깨달은 자로 태어나 삶을 살아가는 것보다 삶의 과정에서 반응성 행동을 긍정성 행동으로 바꾸어내어 영적 성장을 이루어내는 것이 우리 삶에서 제기된 본래의 과제이며 영혼의 본성임을 보여준다는 점이다. 그것은 또 우리 삶에서 악과 부정적인 것들이 만연하고 그런 사람들의 행동이 넘쳐나더라도 그 사람을 미워하고 배제해버릴 수 없는 이유가 되기도 한다.

무엇보다 그 사람이 바로 '나'이고 '나'일 수밖에 없는 까닭이다. 그래서 결국 이 책은 나를 돌아보게 한다. 내 삶을 통해 우주적 본성을 회복하고자 하는 것, 그것은 우리들 마음 속에 아로새겨진 영적 DNA를 새롭게 배열하는 것이 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