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의 시작을 보면 이 과정의 발원지에 도전적인 질문이 있다. 최초의 도전적 질문은 의지와 희망이 가득하지만 가능성은 희미하고, 실타래처럼 엉켜 있어 어디서 시작해야 할지 막막하기만 한 상태에서 던져진다. 한 부분을 해결하면 다른 부분이 나빠지고, 조금만 들어가도 생각지도 못한 난관이 등장한다. 그 막막함에도 불구하고, 이 도전적 질문이 없으면 새로운 길을 만드는 혁신의 수레바퀴는 돌아가지 않는다. 거대한 분야로 성장할 최초의 씨앗이 되는 도전적 문제를 우리는 ‘그랜드 퀘스트’라고 부른다.

'그랜드 퀘스트' 프로젝트는 10개 과학기술 주제에 걸쳐 도전적 질문을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특히 아날로그 컴퓨팅을 구현하고자 하는 큰 이유 중 하나가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함인데 이는 노이즈 문제 해결을 더욱 어렵게 만든다.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해 시그널의 크기를 줄이면 결국 시그널 대비 노이즈의 비율이 증가하여 연산의 정확도는 떨어지게 된다. 전력 감소와 연산 정확도 증가가 상충하는 관계에 있기 때문에 문제 해결이 더욱 어렵다. 또한 같은 방법으로 만들어진 소자들이 각각 다른 특성을 나타낼 수 있고 이러한 문제를 아날로그 연산에서는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어렵다. 따라서 소자 차원을 넘어서 근본적으로 다른 차원에서의 해결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한다.


우리나라는 인적 자원과 물적 자원이 부족하므로 당장에 돈이 되는 분야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장기적으로 국가 경쟁력을 저하시키므로 국가 차원에서의 계획과 투자가 필요하다. 대학에서는 전통적인 반도체 설계 분야 외에도 컴퓨터 구조 및 운영체제 등의 컴퓨터 시스템 분야 교육을 통합적으로 시행해야 한다. 동시에 정부 기관뿐만 아니라 민간 기업에서도 이런 분야 연구에 연구비를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하며, 이런 과정을 통해 배출되는 컴퓨터 아키텍처, 시스템 아키텍처 연구자들에게 좋은 대우를 해야 한다. 연구자들은 자신이 우리나라의 해당 전공 분야를 대표한다는 사명감을 갖고 연구해야 한다.


기후 변화가 가속화됨에 따라 이차전지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특히 지속적인 온도 상승의 기저에는 이산화탄소(CO₂)를 배출하는 교통수단이 차지하는 비중이 약 18%에 육박할 정도로 크기 때문에, 에너지를 최소한으로 쓰면서 활용할 수 있는 모빌리티 혁명이 필요한 시점이다. 오래가면서도 저가로 보급이 가능한, 모빌리티 혁명의 핵심이 될 수 있는 이차전지의 수요가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다.


우리나라의 탄소중립 계획은 결국 수소기술이 상당히 비중 있게 상용화되는 것을 전제로 한다. 이론적으로 2030년이면 도로 위에 수소 차 30만 대가 다녀야 하고, 전체 발전 비율의 2%는 수소를 이용해야 한다. 또 수소 환원 철강기술도 시작해야 한다. 문제는 아직 수소기술이 완성되지도 않았을뿐더러 그만한 수준에 도달하기까지 여전히 갈 길이 멀다는 데 있다. 그렇게 보면 2030년까지 수소기술이 에너지의 큰 비중을 차지하도록 한다는 것은 우리에게 매우 시급한 과제인 셈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뭔가를 결정한다는 건 정말 어려운 일이야…

그래서 난…

비글 보드에 물어보지 않고는 아무것도 결정하지 않아!


이게 나의 '첫 번째 봄날'이라는 춤이야…

우아한 동작 하나하나가 새로운 계절이 주는 기쁨에 대한 찬사지…


It snowed last night...

Now, I can't see a thing suddenly I'm shut off from the world and all its problems.

Let's hear it for the snow!!


또 자네.

왜 그렇게 많이 쉬는지 모르겠어.

내일이 엄청난 날일 걸 대비해서 푹 쉬어두는 거야…

내일이 그런 날이 아닐 수도 있지만 그런 날이라면, 난 이미 준비돼 있는 거지!


If you think about something at three o'clock in the morning and then again at noon the next day, you get different answers.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찰리 브라운이 그러는데, 형제자매들은 사이좋게 지내는 법을 배워야 된대.

그러면 성숙한 어른들처럼 사이좋게 지낼 수 있대.

그리고 어른들도 사이좋게 지내려면 국가들이 지내는 것과 똑같은 방법으로…


What's this?

A dish of ice cream.

I brought it to you in order that your stay here on earth might be more pleasant.

Well, thank you... You're a good brother.

Happiness is a compliment from your sister!


담요 너는 거니, 라이너스?

아니, 그동안 나한테 해준 게 고마워서 한 달에 한 번 햇볕에 쬐어주는 거야.


라이너스, 앞날에 대해 곰곰이 생각해본 적 있어?

그걸 말이라고… 늘 하는 걸.

넌 어른이 되면, 어떻게 되고 싶어?

못 말리게 행복하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 채선아 아나운서

내 안에 어떤 것이 나를 여기까지 이끌었는지 답을 찾았을 때 '어떤' 아카데미는 중요하지 않다. 어디를 가든 자신의 가능성에 관해 묻기보다 그곳에서 배울 수 있는 게 무엇인지 따질 수 있기 때문이다. 아카데미에서 취할 걸 취하되 모든 가능성과 주도권은 우리 손에서 놓지 않아야 한다. 자신의 가능성을 누구보다 먼저 알아봐 줄 수 있는 사람은 결국 자기 자신뿐이다. 그 권리를 학원에 맡기지 말고 본인의 손에 꽉 쥔 채 아나운서로 발돋움을 시작하기를 간절히 바란다.

🎙 서연미 아나운서

지금이야 자랑스럽게 말하지만, 사실 학창시절엔 공부할 시간도 모자란데 고작 '취미생활'에 시간을 쏟아 부어도 되는 걸까? 많이 고민했었다. 나중에 낭비한 시간을 후회하지 않을까? 과연 쓸모는 있을까? 하면서 말이다. 그런데 내 작고 소중한 취미가 아나운서가 될 수 있게 해줬고, 방송에서도 날 돋보이게 해줬다. 세상에 쓸모없는 경험이 있을까? 지나고 나니 너무 귀하고 소중한 취미였다. 혹시나 진학이나 취직을 위해 취미를 희생하고 있다면, 꼭 취미에게도 기회를 주라고 말하고 싶다.

🎙 이지민 아나운서

아나운서를 준비해보고 싶은, 아니 아나운서가 아닌 다른 직업을 생각하고 있는 학생이라도 한번쯤은 저런 리스트를 작성해보라고 권하고 싶다. 나 자신에 대해서 객관적으로 관찰하고 장점과 단점을 꼼꼼히 따져보는 일, 필연적으로 지나간 과거를 반추해 볼 수밖에 없다.

이 과정이 도움이 되는 것은 크게 세 가지인데,

첫째 직업을 정할 때 도움이 되고

둘째 직장을 들어가기 위한 과정인, 자기소개서 작성과 면접준비에도 유용하며

셋째 나중에 직장에 들어가서 직장에서의 진로탐색과 자기계발을 하는 데에도 매우 쓸모가 있다.

나는 누구인가에 대해서 내가 객관적으로 오랜 시간을 들여 평가해 보는 일, 어떤 직업을 선택하더라도 꼭 필요하고 중요한 과정이다.

🎙 백원경 아나운서

열심히 노력하고 준비하되 내가 가진 다양한 재능이 있고 여러 가능성이 열려있다고 믿었던 것은 매번 긴장되고 불안하고 불합격 소식을 들을 때마다 작아지던 그 때, 마음을 다잡는데 큰 도움이 되었다. 또 그렇게 나 자신을 믿어주며 편안한 마음으로 준비하니, 시험장에서도 한결 여유로워지고 자연스럽게 나를 어필할 수 있었다. 기적처럼 아나운서라는 이름을 갖게 되었지만, 만약 그러지 못했다고 해도 후회 없는 선택과 도전이었다고 생각한다.

🎙 유지수 아나운서

'불안'은 목표를 실현하는 과정에서 새어나오는 부정적 가능성을 담보로 태어난다. 하지만 불안은 잉태의 순간부터 달콤한 실현의 싹을 틔운다. 이루고자 한다면 불안을 받아들여야 한다. 그러니 지금 불안한 마음이 우리 안에 깃들어 있다면 그것을 환영하자. 그리고 그것은 사라지지 않는다는 것도 잊지 말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4계절이 뚜렷했던 우리나라였는데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이상기후가 일어나고 있습니다. 이는 지구가 우리에게 보내는 신호이기도 하죠. 기후 위기 시대, 꼭 읽어야 할 과학책을 소개합니다.




기후로 다시 읽는 세계사 | 이동민


초기 인류는 어떻게 지구 곳곳으로 이주할 수 있었던 것일까?

대륙 곳곳에서 일어났던 문명 발달 양상은 왜 그렇게 다르게 나타난 것일까?
세계에서 주목받은 찬란한 문화와 문명들은 어떻게 흥망성쇠를 거듭했던 것일까?
이러한 궁금증을 기후 변화의 관점에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화학의 눈으로 보면 녹색지구가 펼쳐진다 | 원정현


생각해 볼까요? 지구온난화와 기후변화는 정확히 어디에서 비롯된 것일까요?

생각해 볼까요? 플라스틱은 단지 썩지 않아서 문제가 된 것일까요?
생각해 볼까요? 이산화탄소는 기체인데 왜 토양과 바다까지 오염된다고 하는 것일까요?
그렇다면, 지구를 되살리는 데 화학이 왜 필요할까요? 지구와 인간에게 모두 이로운 방향은 없는 것일까?
이 모든 질문에 대한 해답을 책을 통해 구해보려고 합니다.





지구생활자를 위한 시시콜콜 100개의 퀘스트 | 루시 시글


저자는 우리가 살고 있는 행성에 대해 흥미롭지만 생소했던 사실들을 재치 있게 소개하며 지구와 친구가 되는 즐거움을 많은 사람과 나누려고 합니다.

퀘스트는 10단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생물권의 구석구석을 들여다보며 생소하게 느꼈던 지구 공동생활자들의 삶을 밀착 탐색하고 업계와 개인이 어떻게 공존하며 살 수 있는지를 소개하고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