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oman Revolution (Paperback)
Syme, Ronald / Oxford Univ Pr / 200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애 책의 국내 번역본 : [로마혁명사] 1,2권 허승일, 김덕수 역, 한길사 

본서에서 이야기하는 'The Roman Revolution'이란 로마 공화정에서 로마 황제정으로의 이행을 다루고 있습니다. 따라서 본서에서 다루고 있는 로마의 역사는 카이사르의 죽음에서부터 아우구스투스의 사망까지를 다루고 있습니다. 

비교적 짧은 기간의 역사를 다루고 있기는 합니다만, 그 분량이 꽤 많습니다. 약 600쪽에 달하는데요, 그만큼 그 기간을 핵심적으로, 깊게 다루고 있다는 것을 말합니다.  

또한 이 책은 전문적인 역사서로서  언어가 고급 영국영어이며 인물과 그 인물의 정치적인 위치를 말해주는 용어들, 지리적인 용어 등이 많이 쓰이기 때문에 로마 역사와 유럽의 지리에 대해 전혀 모른다면 꽤 힘들게 읽힐 것이라 생각됩니다. 국내 번역서는 이러한 점을 적극 보완하여 번역한 것으로 번역의 깔끔함이 일류 수준입니다. 

본서의 내용은 옥타비아누스가 권력을 쟁취하기까지의 과정을 그리고 옥타비아누스, 즉 아우구스투스의 정체 시스템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내용을 전개해 나가면서 저자는 일관되게 아우구스투스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보이고 있습니다.  또한 옥타비아누스와의 동시대인들에 대한 견해도 비교적 확연히 나타나고 있습니다.  

저는 역사서 중에서도 분명한 견해를 가지고 있는 역사가가 쓴 역사서를 좋아합니다. 왜냐하면 그토록 분명한 역사관을 가지기 위해서는 그 해석의 바탕이 되는 사료들을 꼼꼼히 고찰해야만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이 책도 그러한 책의 하나로 저자의 오랜 탐구를 맞볼 수 있습니다. 또한 주석도 꼼꼼하고 그가 인용하거나 참고한 사료들을 보이고 있어 신뢰도를 높이고 있습니다. 

이 책을 통해서 로마사 전체를 알 수는 없으나, 로마사에서 가장 결정적인 순간들을 알 수 있을 것입니다.  특히 오랫동안 서양사에서 찬미의 대상이었던 옥타비아누스에 대한 비판적인 견해를 볼 수 있는 문헌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The Story of Christianity (Paperback, Reprint)
Collins, Michael / Dk Pub / 2003년 9월
평점 :
절판


 

국내 번역본 : [사진과 그림으로 보는 기독교 역사] 시공사 

같이 보면 좋을 책 :  한스 퀑 [가톨릭 교회 ] 을유문화사  

본서는 그리스도교의 뿌리에서부터 20세기에 이르기까지의 그리스도교의 역사를 다루고 있습니다. 구교인 카톨릭교회와 개신교도 같이 다루고 있습니다. 저자가 마이클 콜린스와 매튜 프라이스인데, 한 분은 가톨릭교도(사제입니다. 마이클 콜린스)이고 또 다른 한분은 개신교도 입니다.  

광범위하고 오래된 그리스도교의 역사를 간결하면서 핵심적으로 서술되어있다는 점이 이 책의 강점이라 보입니다. 하지만 상당히 그리스도교에 대한 동정어린 서술과 성경기반의 서술이 안타까운 점입니다.  

최근 많은 고고학적 발굴을 통해 완전히는 아니지만 그리스도교 초기의 역사의 윤곽이 그리지고 있지만 그러한 면의 검토가 부족해보입니다. 특히, 구약성서 이야기를 다룬 부분에 있어서요. 

따라서 그리스도교 역사에 대한 비판적 읽기를 위해서는 다른 문헌도 같이 보는 것이 좋을 것이라 생각됩니다.  

그리고 비잔틴 정교회와 러시아 정교회, 영국 성공회 등에 대한 언급이 적은편이어서 여기서도 아쉬움이 느껴집니다.  

현대부분에 있어서는 미국의 기독교를 따로 절을 두어 서술하는 정성이 있는 반면에 라틴아메리카, 아시아에서의 그리스도교의 발전에 대한 서술은 부족한 점이 있습니다. 

엄청나게 긴 역사와 그리스도교의 영향력과 분파들을 볼 때 이 모든 역사를 서술하는 것이 그 만큼 힘들기 때문인 것 같습니다. 따라서 앞서 말씀드린 바 대로 다른 역사서도 참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생각됩니다. 특히 종교개혁과 예수이전과 예수이후부터 로마시기까지의 그리스도교의 역사는 이견이 많기 때문에 이 부분에서는 다른 입장의 서술을 보는 것이 필요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The Penguin Dictionary of Critical Theory (Paperback)
M. David Macey / Penguin Group USA / 200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본서를 우리말로 하자면 비판이론 사전이라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다루고 있는 용어라든가 인물들이 약 19세기 이후에 발달한 이론들을 중심에 두고 있습니다. 현대로 들어오면서 사상적인 흐름이 근대의 이성주의(합리주의), 경험주의와 같이 큰 흐름이 있는 것이 아니라 제마다 특징이 있는 따로따로의 사상이 주가 되고 있습니다. 대체로 헤겔의 이상주의의 반발로서 나온 것으로 제 각기 탐구하는 분야가 저마다 다르기도 하고, 보다 다채로운 새로운 개념들을 창조하고 있습니다. 

그러다 보니 결과적으로 철학, 사회학, 심리학, 사학, 문학에서 쓰게되는 용어가 매우 다르기도 하거니와 같은 말이되 쓰는 사람에 따라 다른 의미를 지니는 말들도 많게됩니다. 또는 일반적으로 많이 쓰는 자연언어를 사용하면서 일반적인 쓰임과는 전혀 다른 모습을 취하기도 하지요. 이럴 때는 학습하는 입장에서 개념들을 이해하기에 많이 힘든 것이 사실입니다. 

또한 현대의 이론, 개념, 사상이다 보니 아직까지 명확하게 설명되고 있지 않은 실정입니다. 특히 국내에서는 이와 관련된 사전은 출판되지 않았고, 다만 서울대 철학과에서 BK21사업의 일환으로 추진중이기는 합니다. (참고 사이트 : http://philosophy.snu.ac.kr/center/) 하지만 서울대의 지식지도, 철학 용어도 철학에 한정된 느낌이 없지 않아 특히 문학전인 분야에서 보기에는 무리가 있습니다.

따라서 본서와 같은 사전이 큰 도움이 됩니다. 인물은 아도르노에서 버지니아 울프까지 폭넓게 서술하고 있으며 뒤에는 비블리오그라피가 실려있어 참고문헌을 쉽게 찾는데도 큰 도움이 됩니다.  

인문학을 하시는 분들은 본서를 옆에두고 보시면 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History of Madness (Hardcover)
Foucault, Michel / Routledge / 2006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이 의학에 분류되어있다니...경악을 금치 못하겠네요!! 종종 알라딘에서 문헌 분류가 못마땅한 경우가 있기는 했으나 이것만큼은 참아 줄 수 없네요. 그러고 보니 다른 대학 도서관들의 분류를 보니 뭐 다들 오류가 있네요. 아마도 제목만으로 주제분류를 해서인지,,,, 

이 책은 현대 철학서입니다. 어떻게 보면 역사서라고도 할 수 있지요. 

국내판본은 철학으로 분류되어있으면서 영역본은 의학서라니.. 

국내판본 : [광기의 역사 ] 나남출판 

일단 본서의 원서는 프랑스어로 되어있기 때문에 본서 또한 번역본입니다.  

 

'광인'이라고 우리가 이야기 할 때 그것은 사회적인 틀 속에 부합하느냐 부합하지 않느냐를 두고 판단하게 됩니다. 하지만 우리가 광인을 이야기하면서 광인의 정의는 무엇인지, 사회적인 범주 (혹은 데코룸, 또는 적절함)이 어떻게 만들어졌는지에 대해서는 이야기하지 않습니다. 

이 책에서는 광인과 소위'일반인'들의 경계가 어떻게 형성이 되었는지를 이야기 합니다. 그 방법으로는 푸코의 고고학적 방법이 쓰여서 역사서로서도 가치가 뛰어나다고 보입니다.  경계와 권력과의 관계를 되집어 보는 측면에서 이 책은 푸코의 다른 책 [감시와 처벌]과 [성의 역사 1]과 맥락을 같이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정신장애에 대한 용어의 정립 병의 진단과 이름지움 등에 대한 고찰도 아주 상세하게 하고 있습니다.

사료를 많이 발췌하고 그대로 옮긴 탓에 내용이 방대하기는 하나 이를 통해서 푸코가 말하고자 하는점을 쉽게 알 수 있어서 좋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American Progressivism: A Reader (Paperback)
Pestritto, Ronald / Lexington Books / 2008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Progressivism은 우리말로 보통 혁신주의 또는 혁신주의 운동이라고 번역됩니다. 이와 관련된 국내 도서는 아직까지 별로 번역되지 않았고, 학위논문이나 일반 학술논문에서만 찾아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관련 문헌을 보기 위해선 외서에서 찾을 수 뿐이 없네요.

미국의 혁신주의 운동은 1900년대부터 약 10여년간 지속된 운동으로 현재 미국사회에까지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 사건입니다.  

혁신주의 운동은 산업사회의 급속한 성장과 함께 문제가 된 독과점의 문제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혁신주의 운동은 산업 뿐 아니라 사회 전반적으로 광범위하게 진행되었고 주도한 인물들 또한 다방면에 걸쳐있습니다. 혁신주의 운동에 대한 역사학자들의 의견 또한 지금까지 일치되고 있지 않습니다.  

대체로 혁신주의 운동의 주도세력은 엘리트들로 이루어 졌습니다.  

혁신주의 운동으로 말미암아 미국의 가족과 공동체의 구조를 개선하고 여성의 인권이 향상되었으며 효율적이면서 부패를 줄인 정치를 지향하였습니다. 또한 거대한 기업들을 억제하고 통제하였지요. 이 시기에는 수많은 엘리트 신문기자들과 여성들의 활동이 두드러졌지요. 

역사를 통해 우리는 과거에 이러한 일이 있었음을 알게되고, 이러한 운동이 우리사회에서도 필요한 것은 아닌지 자문해볼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현재 한국사회는 기업들의 독과점을 묵인하거나 이를 지지하고 있고, 사회 구조도 이를 중심으로 돌아가다보니 경제 위기상황에 취약하고 정치권과 공직사회에서는 부패가 만연하여 신뢰를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더욱 염려스러운 것은 이러한 현상에 익숙해지고 무관심해지는 것이겠지요.  

아마 지금 우리 사회에 혁신주의 운동이 필요한 것은 아닌지 생각해보게 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