핀란드 감독 아키 카우리스마키의 영화 성냥공장 소녀는 집에서 밤 늦게 틀어놓고 보다가 조는 바람에 내용이 별로 기억에 없다. 오히려 스틸사진들은 가끔 물끄러미 보아서 정적인 이미지가 정물화처럼 더 친숙하다.  

[내 인생의 영화] 성냥공장 소녀-윤성희(소설가)http://m.cine21.com/news/view/?mag_id=4897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9년 우리 나라에서 공연한 연극 '노라는 지금'은 노벨문학상 수상자 엘프리데 옐리네크의 희곡을 원작으로 하여 우리 나라의 미투 이슈를 다루었다고. https://www.sfac.or.kr/theater/WZ020400/webzine_view.do?wtIdx=11782 


'인형의 집' 뒷 이야기를 쓴 옐리네크의 희곡을 전에 그녀의 대표작 장편 '피아노 치는 여자'에 이어 읽었는데, 소설에서 느낀 바와 비슷하게 예리하고 염세적인 기억이 남아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노라가 남편을 떠난 후 일어난 일 또는 사회의 지주(支柱) [Was geschah, nachdem Nora ihren Mann verlassen hatte oder Stützen der Gesellschaften] (낯선 문학 가깝게 보기 : 독일문학, 2013. 11., 이영기, 노영돈)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070497&cid=41773&categoryId=44396



연극 '인형의 집' 1918년 브로드웨이 공연 사진 Public Domain, https://commons.wikimedia.org/w/index.php?curid=12907297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9년 우리 나라에서 공연한 연극 인형의 집 파트2, 미국 극작가가 썼다는데(외서 검색하니 나온다) 영화화되어도 재미있을 것 같다. 


http://m.playdb.co.kr/MobileMagazine/ListicleDetail?magazineno=3114&subcategory=067007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19449760&memberNo=37451778&navigationType=push 자세한 내용과 결말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박호산 배우의 낭독으로 피츠제럴드의 단편 '겨울 꿈'을 들었다. 재미있었다. 특히 박 배우가 여성 인물을 연기할 때 웃음이 절로 났다. 하필 아름답고 부유한 여성으로 구체화된 '꿈'에 매달리는 남성의 삶이 펼쳐진다.

F. Scott Fitzgerald House, Buffalo, New York By Andre Carrotflower - Own work, CC BY-SA 4.0, 위키미디어커먼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김승옥의 '환상수첩'은 엄청나게 끔찍하다. 여성을 거침 없이 희생양으로 삼는 남성들을 거칠게 드러낸다. * 『환상수첩』 [幻想手帖]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957373&cid=67067&categoryId=67133



사진: UnsplashJosh Withers



집을 나설 때 대문 밖까지 배웅을 나온 아버지와 어머니의 표정을 잊을 수가 없다. 두 분은 분명히 나를 불쌍히 여기고 있었다. 어쩌면 지난날의 자신들을 향하여 응원의 주먹을 휘두르는 기분이었는지도 모른다. 특히 아버지 편이 말이다. 이제 와서 나는 옴쭉달싹할 수 없음을 느꼈다. 애쓰다가 애쓰다가 안 되면 그만이다, 라던 얼마 전까지의 내 생각은 수정을 받아야 했다. 이제는 애쓰다가 애쓰다가 안 되면, 아니 그렇지만 기어코 해내어야만 되었다. 저 덜컥거리던 야행열차의 유리창에 비친 나의 무표정한 얼굴을 들여다보며 세상이 내미는 모든 것을 고분고분히 받아들이자던 나의 약속을—뒤집어보면 그러한 나의 생각에 일종의 비웃음이 섞여 있었지만—이제는 어쩔 수 없이 실천해야만 하게 되었음을 깨달았다.

무엇이었을까? 센티멘털리즘? 센티멘털리즘이라고 해두자. 그러나 몇십 년 후, 코트 깃을 세우고 이 바람찬 항구의 겨울 거리를 비스듬한 자세로 걸어가는 센티멘털리즘이 없다면, 아아, 그런 일은 없으리라, 단연코 없으리라. 아무런 속박도 욕망도 없이 볼을 스치고 가는 바람의 온도와 체온과의 장난을 즐기며 꾸부린 자세가 오히려 편안하다고 느끼며 그리고 내 구두가 아스팔트를 울리는 소리만을 들으며 어디론가 그저 걸어가는 일. 그 순간에 나는 죽어도 좋았다.

김윤식은 적었다. "바다와 죽음의 이미지를 빼면 이 글은 무너진다." 그리고 "바다와 죽음의 두 이미지는 60년대 문학적 특질의 하나를 표시하는 상징물이다." 여기에 덧붙여 나는 ‘눈’과 ‘소금’의 이미지를 빼면 이 글은 무너진다고 말하고 싶다.

이 소설을 쓸 당시 김승옥에게 ‘자살과 속화’라는 양자택일만이 존재했기 때문이고, 자살을 택하는 또래 주인공들에게 깊은 연민을 느끼고 있었기 때문이고, 그 길이 더 순수한 길이라는 생각을 끝내 버리지 못했기 때문일 것이다. (해설 / 신형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