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Lighthouse at Alexandria, 1954 - Salvador Dali - WikiArt.org


[네이버 지식백과] 알렉산드리아 [Alexandria]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22834&cid=40942&categoryId=34206

수많은 등대 중에 특히 주목할 등대가 있었다. 파로스Pharos 섬에 세워진 알렉산드리아Alexandria 등대다.

이 등대는 세계 7대 불가사의 중 하나로 꼽히는데, 약 17세기에 걸쳐 배들을 이집트로 안내하는 역할을 했다. 바다 가까이에 세워진 알렉산드리아 등대는 화가 난 듯 흰색 거품을 뿜는 푸른 바다의 비밀을 꿰뚫어보듯 눈을 반짝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니체와 함께 산책을 / 실스마리아

책세상 니체전집 12 부록 ‘포겔프라이 왕자의 노래’로부터 니체의 시 '질스마리아' 전문을 가져온다.


[네이버 지식백과] 질스마리아 [Sils Maria] (세계인문지리사전, 2009. 3. 25.)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474361&cid=51778&categoryId=51778

질스마리아 (18 January 2020) By Dirk Breer - Own work, CC BY-SA 4.0, 위키미디어커먼즈


니체 시선집 '네 가슴속의 양을 찢어라' 에도 니체의 시 '실스마리아'(5부 포겔프라이 왕자의 노래)가 실려 있다.


여기에 나는 앉아, 기다리고 또 기다린다—무(無)를,
선악의 저편에서, 빛을 즐기고
또 그림자를 즐기며, 모든 것은 유희일 뿐
모든 것은 바다이고 정오이고 목표 없는 시간일 뿐.
그때 갑자기, 나의 여인이여, 하나가 둘이 되었다—
—그리고 차라투스트라가 내 곁을 지나갔다……

- 질스마리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 번역서의 제목 '주디스 버틀러, 지상에서 함께 산다는 것 -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분쟁, 유대성과 시온주의 비판'(양효실 옮김)이 근거한 대목을 발췌한다. 원제 'Parting Ways: Jewishness and the Critique of Zionism'.


Hannah Arendt in Jerusalem during Adolf Eichmann trial:A print screen from "The Devil's Confession: The Lost Eichmann Tapes" (1961) Israeli Public Broadcasting Corporation -Public Domain, 위키미디어 커먼즈

아렌트에 따르면 아이히만 자신과 그의 상관들은 지상에서 누구와 동거할 것인지 선택할 수 있다고 생각했고, 그렇기에 지상 인구의 이질성이 사회적·정치적인 삶 자체의 역전 불가능한 조건이라는 것을 깨닫지 못했다.

아이히만의 경우, 지구에서 누구와 동거할 것인지를 선택하려는 노력은 지구의 인구 중 누군가—특히 유대인, 집시, 동성애자, 공산주의자, 장애인과 병자—를 무화하려는 노력이었고, 그가 주장했던 자유의 실행은 대학살이었다.

지상에서 함께 산다는 것은 있을 수 있는 모든 공동체나 민족, 이웃에 선행한다. 우리는 가끔 어디에 살 것인지, 누구 옆에서 혹은 누구와 함께 살지 선택할 수 있겠지만, 지상에서 함께 살 이들을 우리가 선택할 수는 없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얄라알라 2024-01-26 23:13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서곡님 덕분에 영화도 있다는 걸 알고 갑니다. 감사드려요^^

서곡 2024-01-27 00:18   좋아요 0 | URL
다양한 영화가 만들어져서 좋습니다 댓글 감사합니다 ㅋ 잘 쉬시고 굿나잇요!!
 

클래식 클라우드 '니체'(이진우 지음) 중 '06 영원회귀의 통찰 질스 마리아의 차라투스트라'로부터



니체 바위 By Kuebi = Armin Kübelbeck - 자작, CC BY-SA 3.0, 위키미디어커먼즈

질(실)스 마리아 CC BY-SA 3.0,https://commons.wikimedia.org/w/index.php?curid=2940156


[네이버 지식백과] 엥가딘 [Engadin]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25948&cid=40942&categoryId=34080


[이제 나는 차라투스트라의 내력을 이야기하겠다. 이 책의 근본 사상인 영원회귀 사상이라는 그 도달할 수 있는 최고의 긍정 형식은 1881년 8월의 것이다. 그것은 ‘인간과 시간의 6천 피트 저편’이라고 서명된 채 종이 한 장에 휘갈겨졌다. 그날 나는 질바플라나 호수의 숲을 걷고 있었다. 수를레이에서 멀지 않은 곳에 피라미드 모습으로 우뚝 솟아오른 거대한 바위 옆에 나는 멈추어 섰다. 그때 이 생각이 떠올랐다.] - 이 사람을 보라

이름부터 범상치 않다. 수를레이는 ‘호수 위’ 또는 ‘호수 저편’이라는 뜻을 갖고 있으니 호수 저편에 있는 마을이다. 질스 마리아가 있는 엥가딘 지역은 해발 1,800미터의 고원 지대로서 세속적인 인간사의 저편에 자리 잡고 있는데, 호수 저편에 있는 마을이라니 이름부터 뭔가 신비로운 기운을 머금고 있다.

엥가딘이라는 이름도 이 지역의 계곡을 흐르는 인Inn 강에서 유래한다. 이곳에서 발원하여 스위스, 오스트리아를 거쳐 독일 파사우에서 도나우 강과 합류하여 흑해로 흘러가는 강이다.

차라투스트라의 바위에 관해서는 두 가지 설이 있다. 수를레이에서 멀지 않은 호숫가에 솟아 있는 피라미드 모양의 바위라는 설과 호수에서 산 쪽으로 조금 올라가면 나타나는 폭포 근처의 바위라는 설이다. 니체가 숲속을 거닐다 발견했다고는 하지만, 거의 실명하다시피 눈이 나쁜 니체가 거칠고 험한 산길을 올랐을 리는 없다. 사실 알프스의 숲에는 어디를 가나 니체가 묘사한 피라미드 모양의 웅장한 바위는 널려 있다.

니체가 차라투스트라의 영감을 기록한 노트가 다행스럽게도 남아 있다. 유고집의 ‘11’로 분류된 이 단편은 다른 노트들과는 달리 특별한 것이라도 되는 양 날짜를 분명하게 적어놓았다. "1881년 8월 초 질스 마리아, 해발 6천 피트, 그리고 모든 인간사로부터 훨씬 높이 떨어진 곳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니체와 함께 산책을'(시라토리 하루히코)으로부터

Silvaplana, Switzerland - 사진: UnsplashXavier von Erlach


니체의 시 '실스마리아'는 니체 시선집 '네 가슴속의 양을 찢어라' 중 5부 '포겔프라이 왕자의 노래(1887)’와 책세상 니체전집 12 부록 ‘포겔프라이 왕자의 노래’에 실려 있다. 그리고 시라토리 하루히코의 '초역 니체의 말'도 찾아둔다.






영화 '클라우즈 오브 실스마리아' 예고편 https://youtu.be/v7Z5H_X5f6Q


1881년 8월 초순의 일이었다. 실바플라나 호수의 남동쪽 길을 빙 돌아 호수의 언저리로 빠져나가 2미터에 달하는 삼각형 바위를 본 순간, 그의 머릿속에는 ‘영원회귀’라는 개념이 확고하게 자리 잡았다.

[그날 실바플라나 호수를 따라 여러 숲을 걸었다. 슐레이 고개 가까이에 거대한 바위가 우뚝 피라미드 모양으로 솟아 있어 나는 그곳에서 멈춰 섰다. 그때 이 사상이 내게 찾아왔다.](‘이 사람을 보라’)

이 경험은 니체에게 강렬한 인상을 주었고, 훗날 그곳의 지명인 ‘실스마리아’에서 영감을 받아 동명의 시를 쓰기도 했다. 「실스마리아」의 마지막 두 행은 다음과 같다. "하나가 둘이 되었다. 그리고 차라투스트라가 내 곁을 지나갔다."


댓글(0) 먼댓글(1)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 니체 - 질스마리아
    from 에그몬트 서곡 2024-01-26 23:42 
    책세상 니체전집 12 부록 ‘포겔프라이 왕자의 노래’로부터 니체의 시 '질스마리아' 전문을 가져온다.Sils Maria, Engadin, Switzerland (18 January 2020) By Dirk Breer - Own work, CC BY-SA 4.0, 위키미디어커먼즈 [네이버 지식백과] 질스마리아 [Sils Maria] (세계인문지리사전, 2009. 3. 25.)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