꼴찌 마녀 밀드레드 2 - 시끌벅적 운동회 대소동 책 읽는 샤미 5
질 머피 지음, 민지현 옮김 / 이지북 / 202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새 학기가 시작된 캐클 마법학교에서 펼쳐진 운동회~

과연 운동회에 무슨일들이 펼쳐질까?

너무 예쁜 표지에 꼴찌마녀 밀드레드2 양장책이 내 손으로 다가왔다.

해리포터 시리즈의 영감이 된 작품이라고 알려졌기에 더 기대가 되었다.

밀드레드는 새학기가 시작되자마자 생각하지도 못했던 소동이 일어나며 퇴학위기를 맞게 되는데...

밀드레드는 담임 선생님 뜻에 따라 새로 전학온 에니드 나이프 쉐이드에게 학교를 소개시켜준다.

마법을 부릴줄 아는 에니드는 자신이 키우는 고양이를 원숭이로 바꿔버리는 바람에 밀드레드는 하드부룸 담임 선생님의 서재를 엉망으로 만들어 꾸중을 듣는다. 에니드가 한일을 밀드레드가 했다고 믿어버리는 선생님..밀드레드가 억울할 만도 하다. 밀드레드 보다 더 사고뭉치가 나타날 줄이야^^ 보는 내내 웃음이 났다.

아이들도 가끔 자신이 한것도 아닌데 억울하게 누명 아닌 누명을 쓸때가 있지 않는가..우리 얘들도 억울한 일이 생겼을때 꺽꺽 울었던 기억이 난다. 두번이나 선생님과 교장선생님께 꾸중을 들은 밀드레드는 한번 더 마법으로 인해 소동을 일으키면 퇴학을 시킨다는 말을 듣게 되고 조용히 학기를 마치길 바랬지만...결국 운동회때 큰 소동이 벌어지고 만다. 과연 밀드레드는 이번 학기를 무사히 마칠수 있을까?

한편 새로 전학온 친구 에니드로 인해 밀드레드 단짝친구 모드는 밀드레드를 골탕먹였었던 에셀과 함께 다니게

된다. 밀드레드는 선생님이 에니드를 자신에게 부탁했기 때문이라고는 했지만 모드는 마음이 안좋았을것 같기도 했다, 밀드레드 역시 단짝친구가 다른 친구와 다니는 것이 마음에 쓰였겠지..미안한 마음도 있었을테고...

아이들도 자기들만의 세계가 있는듯하다. 특히 친구관계는 더 그러한것 같다. 이 책을 통해 아이들이 친구에 대해서

다시 한번 생각하게 되는 계기가 될 것 같다. 우정은 변치 않는 다는 것을...그 훈훈함을 느꼈으면 좋겠다,

오랜만에 동화속으로 시끌벅적 캐클 마법학교에 잠시 다녀온 기분이었다.

어른이 되어도 동화는 재미를 가져다주고 작지만 커다란 울림을 주기도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초등 영어책 읽기의 기적 - 혼자서도 영어책 술술 읽는 아이로 키우기
미쉘 지음 / 넥서스 / 202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초등생인 우리집 아이들에게도 영어에 대한 자신감을 불어넣어 줄 수 있을것같아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하피스, 잔혹한 소녀들
에이버리 비숍 지음, 김나연 옮김 / 하빌리스 / 202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빌린다'는 말에 대해 엘리스가 알려주었던 게 생각났다.

엘리스는 물건 훔치는 걸 이런식으로 표현한다고 말해주었었다.

도둑질은 나쁜 사람들이 하는 짓이지만 

하피스는 나쁜 얘들이 아니니까.

본문중에서 P150

올리비아에 이어 동창생 데스티니도 죽었다는 소식을 에밀니는 엄마로부터 전해 들었다. 두번째 죽음이었다.

에밀리는 코트니와 레즈비언이었던 데스트니 와이프로부터 그녀의 이야기를 듣게 되는데...

한편 에밀리는 코트니 딸 테리가 학교에서 친구들로부터 따돌림을 당하는 것 같다는 이야기를 코트니에게 이야기 해 주었지만 뜻밖에도 코트니는 이 사실들은 이미 알고 있었다.

친구들의 죽음앞에 자신들도 관련이 있다고 생각한 하피스 멤버들.

올리비아의죽음을 알아내기 위해 올리비아 남자친구 필립을 찾고 

데스티니늬 죽음을 알아내기 위해 데스티니의 와이프를 찾아가고...

과연 이들앞에 어떤 일들이 더 벌어지게 될까? 그년들은 왜 친구들의 죽음에 자신들의 연관성을 개연시키는 것일까

그녀들도 알고 있는거겠지? 친구들의 죽음처럼 자신들에게도 닥쳐올 일들이 그저 두려워 몸부림치고 있다는 것을.



이 소설은 읽으면 읽을수록 너무 마음이 아프고 때론 그 분노감을 나조차도 억누르지 못하게 될때가 있다.

자신들이 한 행동에 책임은 지지 못할 망정 그저 모든게 장난이었다는 하피스 멤버들

그 중에서도 너무 화가 났던건 올바르지 못한 행동을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소속감이 대체 무엇인지 

서열따위가 무엇이길래 그들은 아랑곳 하지 않고 나쁜일에 몰두하고 서로 방관하고 오히려 그런 짓에 동요되어가는지...정말 이해 할수 없었지만 더 섬뜩한건 이런 일들이 현실에서도 가능한 일들이라 생각하니 더 소름이 돋았다.

보통 요즘은 중2병이라고 해서 사춘기 소년 소녀들이 중학교 2학년이 되면 자신들만의 주장을 내세우며 점점 갈수록 원래의 모습과 행동 성격들이 주위 환경에 많이 변하게 되고 부모가 알던 아이가 아니게 되어버리는 순간들이 찾아오는 시점이다. 그 시기를 잘 넘겨야만 아이들은 더 긍정적 사고 방식을 가지고 사회에 참여하게 된다.

하지만 그릇된 생각과 행동으로 그 시기를 망쳐버리고 친구들에거 휘둘려 자신의 감정을 속이고 행동하게 될때가 있을 것이다. 에밀리에게 내가 더욱더 화가 나는 것은 본인도 하피스 멤버로서 어쩌면 가해자에 해당하는데 아무렇지도 않게 지금 현재 자신의 생활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것도 정신 치료사... 놀랄 놀자다.

누가 누구를 치료해준다는 거지?..친구들의죽음에 연관된 모든 아이들이 제발 제대로된 벌을 받기를 ...

<네이버 독서까페 리딩투데이에서 지원받은 도서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차문디 언덕에서 우리는
김혜나 지음 / 은행나무 / 202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대체 무엇이 저 사람들을 신상 앞으로 내모는 것일까?

어째서 저들은 돌무더기에 지나지 않는 저 석상에 집착하는 것일까?

석상 따위가 정말로 그들을 행복하게 만들어줄까?

-본문중에서 P177-

사원안에서 많은 신상들이 나오는 것을 보며 메이는 놀라워 했다. 

과연 무엇이 그들을 그토록 신상앞으로 내모는 것인지 메이는 도저히 이해 할 수가 없었다. 

죽음의 문턱에서 하나님만을 찾던 옛 남자친구 요한을 떠올리며 메이는 신사앞에 엎드린 사람들을 이해 할 수 없게 하는데...



신은 존재할까? 

많은 사람들이 저마다 하나씩 종교를 가지고 있다.

물론 나처럼 무교인 사람도 있겠지...

아무것도 할수 없고 더이상 기댈수 조차 없는 사람들에게 신은 그야말로 위대한 것이 아닐까.

그런 그들을 탓할 이유 또한 없는것이다.

다만  자신의 삶을 자신의 인생을 자신의 믿음으로 살지 않고 그릇된 믿음 하나로 자신조차

신에게 맡겨버리진 말아야 겠다.

<네이버 독서까페 리딩투데이에서 지원받은 도서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분노란 무엇인가 - 고대 그리스부터 현대까지, 분노를 해석하는 12가지 담론, 2022 세종도서 교양부문
바버라 H. 로젠와인 지음, 석기용 옮김 / 타인의사유 / 202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분노는 우리의 윤리적 민감성에 본질적인 요소이다.

우리는 사악한 사람에게 화를 낼 필요가 있으며, 

더 나아가 화났다고 말해야 할 필요가 있을수도 있다.

본문중에서 p166

철학자들마다 각자 생각하고 있는 분노가 달랐다.



 홉스는 분노를 하찮게 여겼고 아리스토텔레스에서 시작된 길고도 풍요로운 전통을 거부하기도 했다. 

그리티우스와 홉스 둘다 도덕적으로 살면 이득이 있을것이라는 법을 가르쳐준다 보았다. 



이렇듯 철학자들마다 생각하는 분노는 꽤 다양했다. 

분노 자체가 도덕성의잣대가 되어 사람들을 평가하는기준이 되어버린 것을 아닐까 라는 생각도 들었다. 



인간의 본성 자체가 하나의 인상에서 다른 인상으로 변덕스럽게 이동하는 것처럼 제각기 살아온 삶이 얼굴에 묻어나 그 사람의 인상까지 좌우하게 되는 것은 아닐런지... 



나는 어느 순간 이 책을 통하여 철학자들의 분노에 대한 생각들을 다양하게 접해보고 있었다.

그리고 다시 꿈틀거리고 있었다.

분노가 나쁜것만은 아닐꺼야...라고...

<네이버 독서까페 리딩투데이이에서 지원받은 도서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