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231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1. 제12장 본문입니다.  

 

君子之道 費而隱. 夫婦之愚 可以與知焉 及其至也 雖聖人亦有所不知焉 夫婦之不肖 可以能行焉 及其至也 雖聖人亦有所不能焉 天地之大也 人猶有所憾. 故君子語大 天下莫能載焉 語小 天下莫能破焉. 詩云 鳶飛戾天 魚躍于淵 言其上下察也. 君子之道 造端乎夫婦 及其至也 察乎天地.    

 

군자의 도는 널리 쓰이면서 은밀하다. 일개 부부의 어리석은 수준에서도 알 수가 있지만 그 지극한 경지에 이르면 비록 성인이라도 또한 알지 못하는 것이 있으며, 일개 부부의 못난 수준에서도 행할 수 있지만 그 지극한 경지에 이르면 비록 성인이라도 또한 할 수 없는 것이 있으며, 천지가 아무리 커도 사람은 오히려 유감으로 생각하는 것이 있다. 그러므로 군자가 큰 것을 말하면 천하에 실을 수 있는 것이 없고, 작은 것을 말하면 천하에 쪼갤 수 있는 것이 없다. <시경>에서 이르기를, "솔개는 날아서 하늘에 이르거늘 고기는 못에서 뛴다." 하니, 그 위와 아래로 나타남을 말한 것이다. 군자의 도는 그 실마리가 부부 사이에서 만들어지지만 그 지극함에 이르러서는 하늘과 땅에 나타난다.  

 

2. "군자의 도는 널리 쓰이면서 은밀하다(君子之道 費而隱)." <중용>을  최초로 읽었을 때 가장 감동을 받았던 문장입니다. 사실 이 한 문장으로 중용은 끝입니다. 뒤에 따라오는 부연 설명은 사족에 지나지 않지요. 위대한 것과 사소한 것의 차별을 단박에 부수는 압권입니다. 명시적 질서와 암시적 흐름을, 거시 구조와 미시 운동을, 천지 거래와 부부 소통을 한 눈에 꿰뚫는 비수입니다. 대칭과 모순으로 이루어진 우주 이치를 역설로 통합하는 초절정고수의 일식(一息)입니다.    

 

이 말을 色卽是空으로 바꾸면 세존의 깨침이 되고 疎而不漏로 바꾸면 노장의 통찰이 됩니다. 사상의 심오함이나 사유의 자재함에서 공맹(孔孟)이 노석(老釋)에 못 미친다는 말은 통속적 편견일 뿐입니다.  문명에 직접 발 담그지 않는 언어가 문명을 빚어가는 언어보다 영롱해 보이는 것이 사실이지만 사회적 실천을 염두에 둔다면 세련미가 덜한 표현이 동원력 면에서는 더 우월할 것 또한  틀림없는 사실입니다.   

 

<중용>의 중용다움은 "압도하되 제압하지 않는" "평범한" 어기(語氣)에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것이 바로 중용을 설파하는 언어 자체의 중용이 아닐까요? 어눌함에 실린 탄탄함!  

 

3. 사실 費와 隱의 대칭/모순구조를 파악한 것만으로도 <중용>은 우뚝 솟은 텍스트입니다.  그래서 많은 해석가들이 이 영광의 빛 아래서 멈춰 섭니다. 그러나 세계가 대칭/모순구조로 이치를 삼는다는 사실보다 더 중요한 것이 있습니다.    

 

세계는 결코 구조만이 아닙니다. 세계는 운동입니다. 엄밀하게 말하면 운동을 위해 구조가 있는 것입니다. 세계의 운동은 찰나찰나 대칭구조를 깨뜨림으로써 그 역동성을 유지 확산해 갑니다. 費와 隱의 대칭/모순구조를 역설로 통합한다는  말이 바로 이 사실을 표현한 것입니다. 費와 隱의 대칭/모순구조를 깨뜨림으로써만이 역설적 통합이 일어난다는 사실을 알지 못했기 때문에, 즉 운동으로서의 세계를 보지 못했기 때문에 허다한 지성들이 구조의 신비에만 주목한 것이지요.  

 

이런 오류는 앞서 말씀드린 바, "명사적 독법"에 함몰된 교과서적 '먹물'들이 반성 없이 답습한 해석사에 고스란히 남아 있습니다. "동사적 독법"으로 읽어 보겠습니다. 중용을 "평범함에서 벗어나지 않음"이라 읽는 마음결로 여기 "費而隱"을 보면  역시 隱을 동사로 읽으면서 그 방향으로 강조하게 됩니다. 은밀이라는 명사도 아니고 그런 상태를 지시하는 형용사도 아닙니다. "드러내지 않는다.", "감춘다."는 뜻의 동사입니다. 단호한 결단이 전제되는 실천 그 자체입니다. 이렇게 읽어야 앞장의  遯世不見知而不悔와  같은 맥락이 또렷이 드러납니다.   

  

중용의 도가 실로 위대한 것이 사실입니다. 그러나 군자는 그 최고의 덕을 실행에 옮기면서 그것을 자랑하지 않습니다. 권력으로 삼지 않습니다. 드러내지 않음으로써, 감춤으로써 "평범함"에 깃듭니다. 전 우주적 보편성을 가진, 그래서 편재성을 지닌 위대한 덕이 사소한 일상으로 내려올 때 진정한 중용이 이루어집니다.   

 

드러내지 않는다, 감춘다는 동사의 의미는 큰 덕을 작은 일의 수행에도 적용한다는 뜻으로 자연스럽게 이어집니다. 오래전에 본 영화 <간디>의 한 장면이 떠오릅니다. 중대한 국사를 논의하고 있는데 어린아이가 양이 다리를 다쳤다며 들어오자 간디는  동일한 진지함을 유지한 채 양 한 마리를 치료하기 위해 아이와 함께 그 자리를 떠납니다. 조국의 독립과 양 한 마리 치료, 이 엄청난 대칭! 간디는 큰 일하는 자신을 드러내지 않습니다, 감춥니다. 그리 함으로써 위대함과 사소함의 대칭을 일거에 무너뜨립니다. 신약성서는 이렇게 말합니다. "작은 일에 충심을 다한 자가 큰일에도 충심을 다한다."  

 

거듭 말씀드리거니와 費而隱을 명사적 독법으로 읽으면 실천적 의미가 명상 범주로 축소될 뿐만 아니라  올바른 방향도 나타나지 않습니다. 동사적 독법으로 읽어야 개인과 사회 모두를 이끄는 실천덕목으로 방향을 잡고 나아가게 됩니다. <중용>은 잘난 인간을 위한 처세훈을 설파하는 텍스트가 아닙니다. 참된 소통을 통해 평등의 원리를 구현하는 평범한 사람들을 위한 마그나 카르타입니다.  

 

소수의 잘난 인간들이 세상을 지배합니다. 허나 그들은 결코 세상을 이롭게 하지 못합니다. 자신을 위해 세상을 망치는 저 오만한 상위 1%의 제후적 독선에 맞서는 견결한 저항전선이 바로 오늘의 중용입니다. 甲男乙女의 겸손한 연대로 대동세상을 일구는 평범무비의 소통이 바로 중용입니다. 그뿐입니다.   

 

4. 그런데 주목할 것은 부부와 성인을 대비시킨 점입니다. 군자와 소인을 대비시켰다면 아무도 그 자연스러움에 토를 달지 않겠지요. 하필 왜 부부일까요?    

 

뜬금없어 보이지만 사실 匹夫匹婦의 소통이 모든 인간관계 소통의 출발점입니다. 이는 너무나 보편적 진실이라서 오히려 늘 묻혀 지고 말지만  적어도 부부 개념에 앞선 그 어떤 인간 생명도 존재할 수 없다는 사실을 직시하면 여기 부부 언급은 하등 의아할 게 없습니다.  

 

물론 부부관계의 핵심은 사랑이고 다시 그 사랑의 핵심은 성적인(sexual) 것입니다. 단도직입으로 말하자면 성교야말로 인간 존재 자체와 소통의 발원이자 핵심입니다. 그래서 성(sex)은 인간의 본성입니다. 한자어 중 이 性  자 만큼  위대한 쓰임새도 없을 것입니다.   

 

부부의 성은 이렇게 위대하지만 그 자체를 드러내지 않습니다. 사실 성적인 수치심이 사회문화적으로 형성된 측면이 강하나 성교를 감춤/드러내지 않음의 문제로 파악하는 것은 좀 더 내밀한 뜻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곰곰 생각해 보면 존재와 소통의 시원을 일부러 드러낼 일은  아니지요.  

 

다른 것도 매한가지 입니다. 숨 쉬는 것, 먹고 싸는 것, 잠자고 일어나는 것, 말하고 듣는 것, 이 모든 것이 거룩한 일임에 틀림없지만 아무도 그것을 드러내지 않습니다. 모름지기 성교는 이들보다 더 근원적인 것이므로  더 드러내지 않는 것일 수도 있습니다.  

 

이 문제를 권력, 돈 , 지식처럼 드러낼 경우 아마도 인간 세상은  파국을 맞게 될 것입니다. 대놓고 性을 권력,  돈, 지식 문제와 결합한다면 가장 잔혹한 억압체계가 생겨날 것입니다. 아주 하찮게, 아주 조용히 말하지만 부부는, 부부의 性은 중용의 요체이자 뇌관입니다! 그래서 성인도 알 지 못하고 행하지 못하는 경지가 있다고 설파한 것입니다.   

 

5. 가만히 보면 이 장에 또 하나의 개념 顚覆이 있습니다. 그것은 성인과 군자의 구별입니다. 앞장에서와 달리 여기서는 군자 개념이 성인의 상위 개념입니다. 여기 군자는 중용의 완전성을 전제한 요청적 개념이고 성인은 부부와 대비된 상대적 개념이기 때문이지요.  

 

그러나 이 전복은 자못 의미심장한 바 있습니다. 문장의 형식에 따라 내용을 보면 중용이 일개 부부, 즉 匹夫匹婦라도 알고 행할 수 있는 사소한 것부터 성인조차 알고 행하지 못하는 광대한 것까지 포괄한다는 식으로 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행간의 강조점은 이와 다르다고 봅니다.   

 

우리의 이런 이의제기를 뒷받침 하는 문장이 있습니다. 바로 天地之大也 人猶有所憾. 故君子語大 天下莫能載焉 語小 天下莫能破焉. 부분입니다. 제12장 전체 문맥에서 보면 매끄럽지 못한, 불쑥 끼어들어간 듯한 느낌을 주는 문장입니다.    

 

군자의 언어를 천지가 감당하지 못한다는 내용인데 사실 중용의 실천적 측면, 실사구시적 관점에서 보면 원리적으로 황당한 주장입니다. 마치 장자나 불경의 과장된 초거대 담론적 수사를 보는 느낌이 들지요. 이런 이해가 잘못일 가능성을 십분 인정한 상태에서 우리 식 이해를 시도해 보겠습니다.  

 

우리는 天地之大也 人猶有所憾. 故君子語大 天下莫能載焉 語小 天下莫能破焉. 부분을 양보 문장으로 봅니다. 즉,  사람들이 그렇게 생각함에도 불구하고 중용의 이치를 그렇게 추상화, 신비화 할 까닭이 없다는 말을 하고자 한다는 것입니다.    

 

하늘에는 매가 날고 땅(못)에는 물고기가 뜁니다. 천지 일은 그냥 그러합니다. 중용 또한 천지간 일일 뿐입니다. 중용의 최고 경지가 신비 차원까지 올라가서 그런 게 아니고 부부의 性처럼 구태여 드러낼 일이 아닌, 그러나, 아니 그래서 정녕 숭고한 것이기 때문에 성인도 알지 못하고 행하지 못한다고 한 것입니다.  

 

성인이라고 이 문제, 즉 性을 더 고상하게 알고 행할 리 없습니다. 그럴 필요도 없습니다. 중용 또한 이와 같습니다. 아니 바로 군자의 도는  匹夫匹婦의 性, 그 평범하고 사소한 소통으로 영원 회귀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1. 제11장 본문입니다.  

 

子曰 索隱行怪 後世有述焉 吾弗爲之矣. 君子遵道而行 半途而廢 吾弗能已矣. 君子依乎中庸 遯世不見知而不悔 唯聖者能之.  

 

공자는  말씀하셨다. "은벽한 것을 찾고 괴이한 것을 행하는 일은 후세에 칭술함이 있지만 나는 그런 일을 하지 않는다. 군자가 길을 따라서 가다가 길을 반쯤 가서 그만두기도 하지만 나는 그만둘 수 없다. 군자는 중용에 의지하므로 숨어서 세상에 알려지지 아니하여도 후회하지 아니하니 오직 성인만이 할 수 있다."   

 

2. 은벽한 것을 찾고 괴이한 것을 행하는 일은 세상에 알려지기 위해 "특별히" 하는 행동입니다. 나아가 그런 행동들로 점철된 삶의 흐름입니다. 물론 그 과정에 권력과 부와 명예가  결합하겠지요. 이런 풍조를 일컬어 "셀러브리티 컬처(celebrity culture)"라 합니다.  

 

무슨 수를 쓰든 일단 "뜨면" 만사형통인 세상이 점입가경으로 펼쳐지고 있습니다. 처음엔 연예계에서나 일어나던 일이었지만 지금은 "떠야" 대통령도 되는 지경이 되었습니다. 그러니 황색 언론은 물론 주류 언론조차  특정인을 '신'으로 만드는 짓 따위를 서슴없이 자행하는 것입니다.  

 

만들어진 이미지와 실제 내용의 괴리가 그 어느 때보다 심한 세상입니다. 심지어 그래야 마땅한, 그래서 더욱 조장되는 세상입니다.  그런 세상에서 "뜬" 사람들이 하는 일은 일일이 결단과 업적으로 미화되어 뉴스 첫 머리를 장식하곤 합니다.    

 

그 시대정신은 막강한 힘으로 군림합니다. 무슨 짓으로든 일단 셀러브리티가 되면 단박에 인간적인 품위까지  격상되는 기적(!)을 맛볼 수 있으니 거기에 어찌 사회적 힘이 붙지 않겠습니까? 어떤 젊은 연예인이 (자신이 귀족이라는 의미를 전제하고) 비연예인인 사람들을 "평민"이라 했다니 가히 알 만하지요.  

 

게다가 요즘은 CEO 개념이 탁월한 사람, 저 셀러브리티를 묶는 범주가 되어버렸습니다. 무엇보다 대통령을 CEO라 하니 다른 분야야 더 말해서 무엇 하겠습니까. 대통령이 국민을 기업 차원의 경영 대상으로 삼는 일이 의미하는 바를 안다면 함부로 할 말이 아닐 텐데도 이미 우리사회는 이를 당연한 사실로 받아들이고 있습니다.    

 

그러나 바로 이런 게 "드러나 세상에 알려진" "특별한" 사람들이 조장해낸 생각입니다. 당연한 듯 보이지만 실은 "은벽하고 괴이한" 생각입니다. 처음부터 죄다 잘못된 것은 아닐 테지요. 변화된 맥락을 안중에 두지 않는 "특별함"이 일을 그르치게 한 것입니다.   

 

3. 군자의 한결같은 중용 실천은 맥락의 변화를 유연하게 살피면서 다함없이 이어집니다. 중용의 길을 따라가다가 반쯤에서 그만두는 것은 군자가 행할 바 아닙니다.  아무리 해도 "뜨지" 않자 중용 실천을 그만두는 자는 사이비 군자입니다.    

 

어차피 중용의 도는 "특별한" 프로세스를 구사하지 않기 때문에 세상에 알려지지 않습니다. 아니 당최 알려지기를 바라지 않습니다. 소통을 통한 평범함의 추구가 중용의 도라면 정작 세상에 알려지는 주체는  대동으로 바뀌는 사회 자신일 것입니다. 군자는 자신을 숨겨 대동 세상 자체를 드러내는 겸손한 자입니다.    

 

앞 다투어 "세상에 알려지는 특별함"을 향해 내달리는 시대를 살면서 아무리 달려도 그 "특별함"에 이르지 못하는 절대다수의 사람이 참 주인인 세상을 꿈꾸며 군자는 표표히 무대 뒤로 몸을 숨깁니다. 그 결단을 아까워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성인입니다.  

 

자신을 드러내어 세상을 발아래 두는 자가  군자 아니듯이 특별한 부류를 떠받드는 세상 또한 대동이 아닙니다. 위장전입, 부동산 투기, 탈세, 병역기피, 외도, 주가 조작, 거짓말을 일삼으며 죽기 살기로 "특별함"을 탈취하는 자들이 움직이는 이 反대동 세상에서 평범함을 지키는 길이 과연 있기는 한 걸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1. 제10장 본문입니다.  

 

子路問强 子曰 南方之强與 北方之强與 抑而强與  寬柔以敎 不報無道 南方之强也 君子居之

衽金革 死而不厭 北方之强也 而强者居之 故君子 和而不流 强哉矯 中立而不倚 强哉矯 

國有道 不變塞焉 强哉矯 國無道 至死不變 强哉矯.  

 

자로가 강한 것에 대해 물었다. 이에 공자는 답하셨다. "남방의 강함인가? 북방의 강함인가? 아니면 너의 강함인가? 너그럽고 부드러운 것으로써 가르치고 무도한 자에게 보복하지 않는 것은 남방의 강함이니 군자는 이를 택한다. 창검과 갑옷을 깔고 누워 죽어도 싫어하지 아니함은 북방의 강함이니 너의 강함은 이를 택한다. 그러므로 군자는 조화되지만 흐르지 아니하니 그 강한 꿋꿋함이여! 가운데에 서서 기대지 아니하니 그 강한 꿋꿋함이여! 나라에 도가 있으면 궁색하던 때의 절조를 변치 아니하니 그 강한 꿋꿋함이여! 나라에 도가 없으면 죽음에 이르러도 변치 아니하니 그 강한 꿋꿋함이여!"  

 

2. 남방과 북방을 대비한 본문은 아무래도 후대 냄새가 납니다. 물론 고증과 무관한 관견입니다. 남북에서 남은 중원 또는 남송을 가리키는 漢族의 가치와 연결되고 북은 이른바 오랑캐의 가치와 연결되는 암시가 느껴지기 때문에 이런 생각을 해 본 것입니다.   

 

사실이야 어떻든 우리는 본문을 꿰뚫고 내용을  간취하면 되는 것입니다. 요컨대 군자는 유연하고 관대한 내면의 덕으로 강함을 삼지 힘으로 밀어 붙이는 외적인 제압으로 강함을 삼지 않는다는 말입니다. 맥락이  서로 닿아서 문득 생각난 이야기 한 토막을 소개합니다. 선친께서 들려주셨던 김굉집 부자의 일화입니다.    

 

아버지가 아들에게 물었습니다. "누가 널 속이려 한다. 어떻게 그것을 막겠느냐?" 아들이 대답했습니다. "첫째, 감히 속이지 못하게 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힘으로 누르는 것이지요. 둘째, 능히 속이지 못하게 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지식을 동원하는 것이지요. 셋째, 차마 속이지 못 하게 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힘으로든 지식으로든 다 가능하지만 인격적 승복 때문에 속일 수 없게 만드는 것이지요. 최후의 것이 으뜸입니다." 아버지는 빙그레 웃으며 고개를 끄덕였습니다.  

 

자로가 추구하는 강함은 춘추전국의 제후적 강함이었습니다. 공자는 그것을 질타하고 있습니다. 오늘을 사는 우리 눈에는 과연 누가 자로일까요? 시장경제적 자유민주주의 기치를 내건 천민자본주의 헤게모니 블록이 바로 그들입니다. 그들에게는 너그러움도 부드러움도 없습니다. 무도한 자가 아님에도 자신과 다르면 전광석화처럼 보복을 감행하면서 개혁이라 우깁니다.   

 

하필 왜 강함의  화두가 여기서 나온 것일까요? 우리 관점에서 보면 지당한 흐름입니다. 중용은 강자, 승자의 덕목이 아니기 때문이지요. 강자, 승자의 경직성에서는 결코 소통이 나올 수 없습니다. 소통 없이 "평범함"은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모두 평범함에 깃들 때 평등의 원리, 즉 大同이 실현됩니다.  

 

필요악(!)으로서 사회계층구조가 인격의 계층구조가 아님을 깨닫는 지배집단이 아닌 한 그들은 죄다 자로의 무리에 지나지 않습니다. 자로의 무리들이 제아무리 누구를 좌경이다, 급진이다 몰아쳐도 자신들이 턱없이 중용에서 벗어나 있다는 사실을 숨길 수는 없습니다.   

 

3.  이제 본격적인 중용의 도가 나옵니다. "어울리되 휩쓸리지 않는다.", 또는 "어울리되 벗어나지 않는다."로 읽을 수 있는  和而不流는 아마도 和而不同과 같은 뜻일 것입니다. 개인적 느낌으로는 和而不流가 훨씬 역동적으로 다가옵니다. 제후적 가치, 천민자본주의적 시대정신과 함께 흘러가지 않는다는 말이기 때문입니다.  

 

그런 시류에 편승하지 않고(不倚) (우뚝) 서서 벗어나지 않는(中立) 꼿꼿함(矯)이야말로 군자의 강함이라고 갈파합니다. 제 생각으로 중립은 가운데 선다는 말이 아닙니다. "기대지 않고 (우뚝) 선 자세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흐트러지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中에 대한 명사적 독법에 반대한다는 지론에 입각한 것입니다.  

 

4. 나라에 도가 행해지고 있는 상황이라면 궁색함(塞)을 얼마든지 벗어나도 될 테지만 찰나찰나 중용의 실천에 깨어 있으려고 늘(不變) 궁색하던 때의 절조를 간직하는 것이 군자의 기품입니다. 이 不變은 자기의무로서 결단입니다. 반대로 나라가 어지러울 경우 제후적, 천민자본주의적 가치가 군자를 유혹, 나아가 핍박할 것입니다. 이 때는 결연히(至死)  맞서서 본디 자세를 흐트러뜨리지 않습니다. 이 不變은 공적의무로서 저항입니다.   

 

꼿꼿함도 이처럼 時中하는 것입니다. 홀연히 君子豹變이란 <역경>의 말이 떠오르는데 망발일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1. 제9장 본문입니다.  

 

子曰 天下國家 可均也 爵祿 可辭也 白刃 可蹈也 中庸 不可能也.  

 

공자는 말씀하셨다. "천하나 국가도 고르게 할 수 있으며, 벼슬이나 녹도 사양할 수 있으며, 시퍼런 칼날도 디딜 수 있으나 중용은 할 수가 없다."   

 

2. 중용은 과연 최고의 덕입니다. 천하나 국가를 고르게 하는 위대한 정치력의  "특별함"으로도, 큰 벼슬이나 녹을 받을 만한 재목의 "특별함"으로도, 시퍼런 칼날을 디딜 수 있는 재능의 "특별함'으로도 접근이 불가능한 가치입니다.   

 

중용의 이 도저한 "평범함"은 인간 생명의 전 면모를 통해 드러나는 통합가치입니다. 참된 소통의 흐름에 자신을 놓는 맑은 마음, 소통을 꿰뚫어 보는 슬기, 꿋꿋이 소통을 실천하는 옹골참이 어우러져야 비로소 가능한 것입니다. 그리고 보면 오히려 "특별함"이 더 쉽습니다. 애써 통합할 것 없이 갈라놓으면 그뿐이기 때문이지요.  

 

사실 중용실천의 전제 조건을 살펴보면 "이걸 어찌 평범하다 할 수 있단 말인가?" 하는 의문이 듭니다. 도리어 관념적이지 않느냐는 반론이  가능합니다. 허나 핵심은 무엇이 평범한가 하는 추상적 문제에 있지 않습니다. 누구라도 누리기를 바라는 권력, 돈, 지식이 특별한 가치로 이미 자리매김 되어 있는 현실 세계가 大同을 거절한다는 사실에 있습니다.    

 

결국 평범하지 않은 것을 평범하다 하는 요청적인 어려움은 바로  그 사이비 특별함 때문에 생긴 난제인 셈이지요. 세상이 꼬인 것입니다. 가치가 뒤바뀐 것입니다. 이래서 중용은 혁파입니다. 혁파이기 때문에 공자의 입에서 "할 수가 없다(不可能也)"는 탄식이 흘러나온 것입니다.  

 

3. 요즘 우리사회 돌아가는 모양이 꼭 그와 같습니다. 입만 열면 경제를 말하는데 경제는 더 나빠지고 그로써 더더욱 백성들은 "배부른 돼지"가 되도록 교묘하게 '사육' 당하고 있습니다. 그 사육정책으로 누가 무슨 이득을 챙길지 뻔히 알면서도 온 사회가 마치 무엇에 씌운 것처럼 한 방향으로 달려가고 있습니다.    

 

마음을 챙기고 다시 세상을 보면 지. 금. 여. 기. 야말로 공자가 그토록 간절히 바랐던 중용적 혁파가 필요한 시공간임을 알게 됩니다. 다시 한 번 곰곰 챙겨 보겠습니다.   

 

참된 소통의 흐름에 자신을 놓는 맑은 마음,

소통을 꿰뚫어 보는 슬기,

그리고 꿋꿋이 소통을 실천하는 옹골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제8장 본문입니다.  

 

子曰 回之爲人也 擇乎中庸 得一善則拳拳服膺而弗失之矣.  

 

공자는 말씀하셨다. "회(안회)의 사람됨은 중용을 골라서 실천하는 것이니 하나의 착한 것이라도 얻으면 받들어 가슴에 꼭 붙잡고 잃어버리지 아니한다."   

 

2. 중용이 군자에게 주어진 자격증이 아니고 찰나찰나 결단해야 하는 "선택(擇)"의 문제임은 앞 장에서 이미 말씀드렸습니다. 더 거론할 일은 없으나 연상되는 불교에 관한 이야기를 하나 하고 넘어가지요. 
 

한국 불교 논쟁사에서 가장 큰 이슈 중 하나가 이른바 돈점(頓漸) 논쟁입니다. 보조국사 이래 내려온 돈오점수(頓悟漸修)에 대해 성철선사가 돈오돈수(頓悟頓修)로써 이의 제기를 하면서 태풍처럼 일세를 몰아친 논쟁이었습니다. 단박에 깨치더라도 그 뒤 끊임없이 닦아야 한다는 전자에 대해 단박에 깨쳤는데 뭘 더 닦을 게 있겠느냐는 반론이 후자이지요.  

 

후폭풍이 여전합니다. 둘 다 맞다는 포용론이 있는가 하면 각기 다른 용처가 있다는 현실론도 있습니다. 단박에 깨친 경험도 없고 성실히 닦은 세월도 없는 중생이 여기에 입 댈 처지는 아닙니다. 다만 깨친다는 것과 닦는다는 것이 어떤 의미 맥락에서 대칭구도를 이루는 것인가 하는 문제에 대하여 현실적으로 성찰하는 작업이 미흡한 논쟁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해 봅니다.  

 

즉 논쟁 자체에 가담하기 앞서 논쟁의 전후 연관성을 살펴 중생에게 빛이 될 수 있는 현실 지평을 열어 놓지 않은 채 "그들만의" 논쟁으로 깊어지고 있다는 말입니다. 중생제도와 절연된 논쟁이 어떤 의미에서 부처의 길인지 문득 의문을 품게 됩니다.  

 

중생의 처지에서 보면 깨침의 높은 경지에 오른 분들이 그와 전혀 어울리지 않는 사회행위를 하는 것을 수긍하기 어려운 게 사실입니다. 어리석어서 그리 생각한다면 별 도리 없지만 깨치지 못한 중생도 안 하는 행동을 생불(生佛)들이 거리낌 없이 하는 것을 보면 도대체 깨침이 무엇은 열고 무엇은 닫는지 황당해지지요.  

 

사회동원력을 갖춘 큰 스님이 거대한 사회 부조리를 보고도 관념적 거대담론으로 호도하는 일은 또 어찌 이해해야 될까요? 세속 일에 관여하지 않는 것이 깨친 자의 길이라면  그 깨침으로 관여해야 할 일은 과연 무엇일까요? 그런 이원론이 과연 선불교의 근본 철학에서 나오는 것일까요?   

 

다수 중생들이 힘들게 사는 것이 다만 미망에 빠져 있기 때문만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삶의 장(場)이 스님들과 전혀 다르다는 측면을  십분 고려해야 마땅합니다. 스님들한테 누가 와서 돈을 달랍니까, 새끼를 키워 달랍니까, 부모를 봉양하랍니까? 그런 고단한 삶에서 벗어난 산중 정진을 통해 얻은 깨침이, 닦음이  중생의 삶보다 어떤 의미에서 윗길일지 정말 한 생각 크게 돌이켜 성찰해야 한다고 봅니다.  

 

오늘날 중용을 논하는 수많은 지식인들이 꼭 이와 같은 함정에 빠져 있기에 돈점논쟁을 예시하여 말씀드려 보았습니다. 음양이 어떻고, 조화가 어떻고....... 고담준론이야 하늘을 찌르더라도  삼시 세 끼 밥 먹어야 하고 돈 있어야 아이 학교도 보내는 게 엄연한 현실 삶인데, 그 이야기에서 한사코 멀어지기만 하는 중용이 과연 참된 중용일 수 있겠습니까? 평범한 백성들이 하루하루 살아가면서 내리는 선택이 모여 사회적 삶이 되고 문명이 되어 가는 법인데 거기에 뿌리 내리지 않은 지혜를 어찌 중용이라  하겠습니까?  

 

3. 안회는 사소한(一) 선(善), 즉 중용의 결단일지라도 소중히 여겨 삼가 받들어(拳拳) 가슴에  새겨서(服膺) 잃지 않았습니다. 한 일(一)을 "사소한" 으로 읽은 것이 지나친 해석은 아닐 터, 이는 대뜸 중용의 "평범함"과 상통합니다.   

 

이리 읽으면 안회의 완벽함을 찬양하는 독법에서 안회의 겸손함, 그리고 예의 "평범함"을 강조하는 쪽으로 선회하게 됩니다. 여태까지 우리가 견지한 중용 독법에서 보면 이게 더 어울리겠지요. 나아가 중용이 그 때 그 때의 결단, 선택에 따른 역동적 실천이라는 사실에 부합할 것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231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