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을 곱게 쓰는 사람을 좋아합니다. 얼굴과 이름을 잘 기억 못하지만, 그 사람이 썼던 특정 단어나 말의 내용을 잘 기억하는 편입니다. 제가 사람을 볼 때, 몸의 반듯함 이상으로 말을 중요하게 여긴다는 건 살면서 우연히 경험하는 에피소드로 알게 되었습니다.

며칠 전에도 에피소드 하나 겪었습니다. 소위 번개 모임으로, 굉장히 유쾌한 술자리를 가졌습니다. 이미 2시간쯤 판이 벌어진 술판에 제가 끼어든 셈이었는데요, 참석자 중 한 분은 완전히 초면이었습니다. 앉아 계시는 태도와 표정의 온화함, 말투와 목소리, 체화된 예의바름 등등 첫인상이 좋았습니다.

*  

그런데, 착석 후 2-30분이 채 지나지 않아서, 말을 중요하게 여기는 제 안테나에 자꾸 걸리적 거리는 게 있었습니다.


"이 아줌마가 뭐라는 거야?" "이 아줌마 뭐래?"


그 (혼잣)말이 향하는 대상은, 사실 그 점잖은 분이 그날 술자리에서 처음 만난 사람들이었습니다. 초면이 여성분들, 그리고 이름 정도만 알고 있었던 여성 직장 동료였죠. 이후 4시간 정도 이어진 술자리에서 "이 아줌마 뭐래는거야?" 이 말을 족히 열 번은 들었던 것 같습니다. 물론, 그 습관적 추임새를 빼고는 그분 입 밖에서 나온 말들은 알코올 취기에도 불구하고 흐트러져 있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그 기묘한 부조화가 더 강력하게 제 안테나게 들러붙었습니다. 그 말이 자꾸만 생각 나더라고요. 그랬더니 한 문장으로 해석 가능해졌습니다.


"집에서 새는 바가지가 나가서도 샌다."



감히 짐작하건대, 그분은 댁에서 아내에게 그 말, "이 아줌마가 뭐래는 거야?"를 습관적으로 써오셨을 것입니다. 술자리 에피소드 때문에 오는 저는, '항상 말을 곱게 쓰자'는, 도덕 교과서 같은 생각을 적었습니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3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은오 2023-08-25 13:49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그러게요 얄님.. 그분 집에서 어떻게 말씀하실지 안 봐도 훤하네요. 어우ㅠㅠ
저는 평소에 생각한게, 행동을 예쁘게 하는 사람은 꽤 자주 볼 수 있지만 말을 예쁘게 하는 사람은 극히 드물게 보이는 것 같아요(저도 예쁘게 못합니다 ㅋㅋ). 그래서 말 예쁘게 하는 사람은 확 눈에 띄고요.
말 예쁘게 하는게 어렵긴 한 것 같습니다. 근데 예쁘게 못하면 못나게라도 하지 말자...

얄라알라 2023-08-27 17:46   좋아요 0 | URL
^^ 제 말씨도 점점 유투브화 되어 가는지라, 이런 글을 올리기 사실 ‘제 얼굴에 침뱉는....‘

제가 어렸을 때 많이 들으며 컸던 속담이 ‘집에서 새는 바가지....‘ 였는데 그 분을 보고 속담이 생각나서 썼네요.

저는 은오님처럼 컬러플하게, 생동감 넘치게 말 좀 해보고 싶어요. 진지 모드여서 fun하지가 못한지라, 은오님이 부럽사옵니다

감은빛 2023-08-25 20:38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얄라알라님처럼 저도 고운 말을 쓰는 사람이 좋습니다.
말이 거칠고 태도가 불량하게 느껴지면 딱 기분이 상합니다.
물론 좀 친해지면 적당히 농담처럼 그렇게 할 수도 있습니다만,
그런 태도를 보이려면 정말 어느 정도는 친분이 있어야 하는 거 아닌가 생각하는 편입니다.

얄라알라 2023-08-27 17:47   좋아요 1 | URL
ㅎㅎ예전에 한국 사회에서 ˝아줌마˝라는 호칭(?) 함의 분석한 논문을 읽었던 생각이 납니다.

˝이 젊은이야. 이 어린이야....˝보다 ˝이 아줌마야.˝가 주는 파급효과가^^;;;

감은빛님, 닉넴부터가 매우 고운말같이 느껴져요
 
빨강 연필 일공일삼 71
신수현 지음, 김성희 그림 / 비룡소 / 201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빨강 연필은 과연 그 습득자에게 득일까? 독이 될까? 남들에게 보여주고 싶은 나와, 실제 나의 간극을 더 벌려 놓을까? 아니면 지향하는 이상으로서 나를 이끌까? 속임수를 부려서라도 내 영향력을 키워준다는데 빨강 연필을 포기할 수 있을까? 민호는 연필을 태웠다! 심사위원들은 이를 높이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물물 마셔보셨나요?

땅 속에서 끌어올린 물은 정수기 거쳐 나온 냉수보다 차갑나요? 


며칠 전, [토지] 읽기 회원분들의 대화를 우연히 곁들은 후 계속 궁금합니다. 저는 모임원이 아닌 데다가 [토지]를 읽지 않아서 대화에서 언급된 인명과 지명 대부분을 놓쳤지만, "우물물" 만큼은 귀에 담아왔습니다. 그분들은 우물물 목 넘김의 차가운 감각을 몸으로 기억하시는지 '아'하니 '어'하며 감각을 공유하시더군요. '차가운 감각' 의 공유면에서 잠시 소외되었던 제게 '우물물의 시원함'은 생각거리를 던져주었습니다.

*

바로 "감각의 소중함"말입니다. 사실 저는 우물물이 정수기 냉수보다 더 차가운지 판별하는 데 별 관심이 없습니다. 그보다는 인간 존재와 기억함에 감각이 얽힘이 궁금해졌습니다. 어쩌면 AI가 우리 인간을 대신해 노래해주고, 소설을 써 주고, 교란된 감각을 유도하는 21세기에 우리가 잊어가는지도 모를.....

**

'우물물'에 생각이 꽂힌 이유가 있습니다.



최근 주말 밤, 최신공법으로 지어진 통유리 빌딩 안에서 소위 "멍 때리기" 하던 중이었습니다. 빌딩 내벽에 수직으로 설치된 거대한 스크린 속에서 새들이 날고, 미풍에 나뭇잎들이 우수수 쏟아져 나부꼈습니다. 반복 재생되는 평면의 영상에서 저는 눈을 떼지 못했습니다. 제 자신이, 그 조작된 자연의 이미지에서 평온함을 느낀다는 걸 문득 깨닫자 갑자기 불쾌해졌습니다. 사실 전기적 시각 자극을 받은 제 뇌가 속았을 뿐인데 저는 마치 실제 숲 속에 와 있는 듯한 평온감을 잠시나마 느꼈기 때문이죠.



다행히 저는 진짜 숲과 환영의 숲 이미지를 구별할 수 있을 정도로 실제 숲에서 다양한 감각을 느껴왔습니다. 하지만, 그럴 기회가 부족할 미래의 아이들은 어떨까? 마치, 우물물 목넘김의 시원함을 모른채 정수기 냉수가 전부인지 아는 저처럼......여기까지 생각이 미치자 두려워졌습니다. 이 존재론적 두려움을 언어로 명료하게 표현하기가 참 어렵네요.



대신 오늘 아침 산책하다 찍은 숲 사진을 올려봅니다. 1시간 사이에 일주일 필요량의 햇볕을 다 쬐었다고 느낄만큼, 숲 속의 햇살은 순도 높고 강렬했습니다. 햇볕이 세로토닌이 퐁퐁 솟아나게 한 탓일까요? 오후 내내, 졸음이 졸졸 따라다닙니다.

오늘 아침 온 몸에 쬐인 햇살의 강렬한 따뜻함은, [토지] 책 읽기 회원분들이 기억하시는 '우물물의 차가움' 만큼이나 제겐 경이로운 감각으로 오래 남을 것입니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3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그레이스 2023-06-25 19:5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벤치 디자인이 넘 예뻐요
요즘 공원시설물이 멋진게 넘 많아요~♡

얄라알라 2023-06-26 10:14   좋아요 0 | URL
벤치 페인트칠한 부분이 저도 맘에 들었는데
산림욕장 내부에 있는 목공소 작품이 아닐까 혼자 생각했어요^^

장마라서 당분간 공원도 못가겠어요
비오지만 뽀송하게 월요일 시작하세요
그레이스님^^

고양이라디오 2023-06-26 15:2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숲이쁘네요. 저도 일광욕하고 싶네요^^
 
챗GPT에게 묻는 인류의 미래 - 김대식 교수와 생성인공지능과의 대화
김대식.챗GPT 지음, 김민정 외 옮김 / 동아시아 / 202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Chat GPT에게 질문한 것은 인류의 미래가 아니라, 저작권과 ˝저자의 윤리˝였는지도...... 이 책의 공저자 Chat GPT의 영어를 옮겨주신 김민정, 권태형, 유병진, 추서연, 유지언 역시 공저자이신 거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셰임 머신 - 수치심이 탄생시킨 혐오 시대, 그 이면의 거대 산업 생태계
캐시 오닐 지음, 김선영 옮김 / 흐름출판 / 202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돌직구 소신파 뇌섹 수학자( UC 버클리 & 하버드), 캐시 오닐! 이 책이 너무 재미있어서 6월 첫주 병렬독서 포기. [셰임 머신]이 블랙홀이었다. 동시다발 읽던 책들 다 덮고, 이 책부터 읽음. 비만인으로서 수치 경험을, 사회차원의 수치심 산업과 연결시켜 풀어내는 해박한 지식과 폭 넓은 시야!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고양이라디오 2023-06-13 10:1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 병렬독서를 포기하게 하는 블랙홀! 기대가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