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11 | 11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장외인간 1
이외수 지음 / 해냄 / 2005년 8월
평점 :
절판


오랜만에 이외수 다운 소설을 읽었다는 생각이 듭니다.

급하지 않게 흐르는데로 써내려가는 작가의 모습을 떠올리며 즐겁게 읽었습니다.

(물론 작가는 피가 마르는 고통의 순간이었을 수 있겠습니다.)

앞에 읽었던 괴물보다 그리고 오래전 읽었던 벽오금학도 보다도 더 마음에 듭니다.

다만 마지막 부분 그들만의 축제를 보며 작가가 여전히 이땅에서 다리를 살짝 들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언젠가는 공중부양에서 내려오시는 날이 있겠지요.....

- 출판사에 질문 하나

   이번에 알게 됐는데요, 들개 / 칼 / 벽오금학도 등의 책이 오감소설이라는 세트메뉴로

   묶여 있더군요. 왜 이런 아이디어를 내신건지요? 출판시기가 비슷한 것도 아니고....

   작가 이외수의 아이디어는 아니라고 조심스럽게 생각해 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파피용 (반양장)
베르나르 베르베르 지음, 전미연 옮김, 뫼비우스 그림 / 열린책들 / 2007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작가 베르베르가 선택하는 소재의 참신함과 독특함은 인정합니다.

전설의 고향 'Feel'이 나던 '천사들의 제국'은 나름대로 재미 있었구요,

'뇌'를 읽었을땐 작가의 치밀한 구성 및 준비에 찬사를 보냈던 기억이 납니다.

물론 파피용도 작가의 노력이 보이지 않는다는 얘기는 아닙니다만,

400쪽 가까이 되는 긴 소설을 쓰면서도 깔끔하게 정리하지 못하고 막판에 급하게

마무리 했다는 느낌이 듭니다. 하고 싶은 얘기는 많았던 듯 싶은데 말이죠....

다 읽고나서 저 혼자 수습이 안되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괴물 1 이외수 장편소설 컬렉션 6
이외수 지음 / 해냄 / 2002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소설속의 전진철은 끝까지 변하지 않는 모습을 보입니다.

일관되게 복수를 계획하고 결국 목표는 달성했지만 죽음에 이르게 됩니다.

작가 이외수는 많이 변한듯 합니다.

꿈꾸는 식물, 들개, 칼을 쓰던 시절과 이후 벽오금학도, 괴물은 차이가 큰듯 합니다.

이외수의 아름답고 서늘한 글이 좋았습니다. 지금도 물론 재미있고 흥미진진 합니다.

하지만 지금은 열심히 세상과 소통하려 하면서도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에 발을 딛고 있지 않은 듯 해서 아쉽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디지털 포트리스 1
댄 브라운 지음, 이창식 옮김 / 북스캔(대교북스캔) / 2005년 6월
평점 :
절판


댄브라운의 책을 읽을때면 항상 김진명이 떠오른다.

두작가의 책은 언제나 한번 손에 잡으면 놓기 어려울 정도로 재미있고, 흥미진진하다.

마치 영화를 보고 있다는 느낌이 들 정도로 눈 앞에 상황이 그려지고, 내가 그 상황  속에 함께

있다는 생각이 들 정도다.

독자의 호 불호는 있겠지만 개인적으로 두사람의 관점에 동의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정말 재미있다. 그래서 오늘도 헌책방을 뒤져서 아직 읽지 않은 두사람의 책을

찾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열하일기, 웃음과 역설의 유쾌한 시공간 - 증보판 리라이팅 클래식 1
고미숙 지음 / 그린비 / 2003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책을 다 읽고 난 지금, 연암을 향한 작가의 길고 애절한 戀書를 읽은 듯 한 느낌이 든다.

먼저 에필로그에 작가가 쓴 말을 보자.

"지난 2년 동안 나는 『열하일기』에 대한 '지독한 사랑'에 빠져 있었다. 동서고금 어떤 테마의

세미나에서건 『열하일기』로 시작해 『열하일기』로 마무리했고, 밥상머리에서 농담따먹기를

할 때, 산에 오를 때, 심지어 월드컵 축구를 볼 때조차, 『열하일기』를 입에 달고 살았다."

책 서두에서 끝까지 일관되게 흐르는 열하일기에 대한, 아니 연암에 대한 작가의 애정(이해, 칭찬,

비교, 존경 등)이 어느정도인지 쉽게 알 수 있는 말이다.

게다가 작가는 "내가 『열하일기』를 말하는 게 아니다.『열하일기』가 나를 통해 자꾸

흘러나오는 걸 대체 어쩌란 말이냐?" 라고 작가 자신의 신내림의 경지를 고백(?) 하기도 한다.

열하일기를 통해 연암을 알게되고 그래서 연암에 퐁당 빠지게되기 까지

작가의 인생 역정(클리나멘^^) 도 엿보게 되고 바로 그 작가를 통해 열하일기와 연암의 세계에

대한 애정어린 설명을 듣는다는 것 자체가 아주 즐거웠다.

이 책을 통해 고전에 문외한인 내가 리상호, 고미숙의 열하일기를 인터넷 서점에서 검색하고

있다는 것 역시 신기할 따름이다.


댓글(0) 먼댓글(1)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 고미숙, 몸과 우주의 유쾌한 시공간 '동의보감'을 만나다
    from 그린비출판사 2011-10-20 16:52 
    리라이팅 클래식 15 『동의보감, 몸과 우주 그리고 삶의 비전을 찾아서』출간!!! 병처럼 낯설고 병처럼 친숙한 존재가 있을까. 병이 없는 일상은 생각하기 어렵다. 누구나 그러하듯이, 나 역시 살아오면서 수많은 병들을 앓았다. 봄가을로 찾아오는 심한 몸살, 알레르기 비염, 복숭아 알러지로 인한 토사곽란, 임파선 결핵 등등. 하지만 한번도 병에 대해 궁금한 적이 없었다. 다만 얼른 떠나보내기에만 급급해했을 뿐. 마치 어느 먼 곳에서 실수로 들이닥친 불...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11 | 11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